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1980년 남자가 1940년 여자에게 건넨 말···뮤지컬 ‘소란스러운 나의 서림에서’ 판타지 펼쳐져

암울한 시대, 자유 꿈꾸는 남녀 40년 건너뛰어 필담 통해 만나 서림 옮겨놓은 무대, 판타지 세계

  • 박윤예
  • 기사입력:2025.04.25 16:51:29
  • 최종수정:2025.04.25 16:51:29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암울한 시대, 자유 꿈꾸는 남녀
40년 건너뛰어 필담 통해 만나
서림 옮겨놓은 무대, 판타지 세계
뮤지컬 ‘소란스러운 나의 서림에서’에서 해준(정욱진·왼쪽) 과 양희(이봄소리)가 서로를 바라보며 노래 부르고 있다. <이모셔널씨어터>
뮤지컬 ‘소란스러운 나의 서림에서’에서 해준(정욱진·왼쪽) 과 양희(이봄소리)가 서로를 바라보며 노래 부르고 있다. <이모셔널씨어터>

독재정권의 1980년 해준이 일제강점기의 1940년 양희에게 과연 희망적인 말을 해줄 수 있을까. 두 암울한 시대에서 자유를 꿈꾸는 두 남녀가 만난다. 상상 속에서나 이뤄질 법한 일이 책을 매개로 필담을 통해 이뤄진다.

대학로 초연 뮤지컬 ‘소란스러운 나의 서림에서’는 40년이라는 시간을 건너 만나는 두 남녀가 서로의 해피엔딩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그린다.

공연은 1940년의 양희가 아버지가 물려주신 아시타 서림에서 신간 소설을 소개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자신이 쓴 작가 미상의 소설을 팔아 독립 자금에 돈을 보태던 양희는 우연히 자신의 책에 누군가 남긴 답변을 발견한다. 그 답변을 남긴 사람은 다름 아닌 1980년의 해준. 해준은 학생운동 중 도망쳐 들어온 아시타 서림에서 양희의 책을 만나고, 그 이후 두 사람의 대화는 시작된다.

2인극의 두 주인공은 한 무대 위에 같이 서있지만, 둘은 서로를 볼 수 없다. 영상, 조명을 활용해 양희와 해준 사이의 40년을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양희와 해준이 필담을 통해 대화를 나누는 모습은 각자의 공간에 다른 조명을 두어 동시에 다른 시대처럼 보이도록 연출했다.

무대는 책 가게(서림·書林)를 그대로 옮겨 놨다. 고즈넉하면서도 고풍스러운 분위기라 어딘가 판타지 세계에 온 듯하다. 밤하늘 별빛처럼 대화를 나누는 책에 조명이 들어오게 해 양희와 해준에게 벌어지는 판타지 같은 일을 극대화시켰다.

1980년의 해준은 1940년의 양희를 어떻게 도울지 고민한다. 해준은 역사에 실패로 기록된 독립운동에 양희가 곧 가담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해준은 양희의 성공을 최대한 도와주고 싶어하지만, 이미 학생운동 시위 중 동지의 죽음을 목격한 뒤 말리지 못했던 자신을 탓하며 세상과 단절한 채 살아가는 소심한 인물이기도 하다.

대학로의 주옥 같은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양희 역에 이봄소리·이지수·박새힘, 해준 역에 정욱진·윤은오·임규형이 출연한다. 오는 6월 21일까지 et theatre 1(구 눈빛극장).

뮤지컬 ‘소란스러운 나의 서림에서’의 한장면<이모셔널씨어터>
뮤지컬 ‘소란스러운 나의 서림에서’의 한장면<이모셔널씨어터>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