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식물 광합성 도와 생육↑
굴뚝뿐 아니라 어디서나 포집 가능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작물을 빨리 기를 수 있게 됐다.
1일 에코프로에이치엔이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과 협력하여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하는 ‘직접 공기 포집(DAC)’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엔 습식 방식의 이산화탄소 흡수 기술을 활용했는데, 폐수가 발생하고 설비가 부식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산업 현장에서 나오는 고농도 탄소를 대상으로 해 발전소 굴뚝과 같이 제한적인 장소에서만 가능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흡착제를 활용한 건식 방식의 이산화탄소 흡수 기술을 개발해 이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소형 DAC 설비는 대기 중 저농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설치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농축한 뒤 스마트팜 내 농작물에 공급하면 생산성도 향상된다. 스마트팜과 비닐하우스 내 작물들은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일 때 광합성 능력이 향상되며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이다.
일반 대기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400ppm인데, 농도가 800~1000ppm에서 최적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현재 경상북도 상주시에 위치한 스마트팜혁신밸리에서 1세대 소형 DAC 장치 설비를 통해 토마토를 재배하고 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에 따르면 소형 DAC 설비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600~700ppm까지 상승시켰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성능을 800~1000ppm까지 끌어올려 2026년 상용화할 방침이다. 미세조류를 포함한 다른 분야 농작물에도 소형 DAC 설비를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종섭 에코프로에이치엔 대표는 “원격제어 및 인공지능(AI) 기술 적용을 통해 무인자동화 스마트팜 운영에도 최적화할 수 있다”며 “스마트팜 기반 작물 재배 환경에 혁신을 불러 일으키고 탄소 네거티브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