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기업의 ESG 전략에도 여러 시나리오별 맞춤 전략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진단이 나왔다.
이동석 삼정KPMG 부대표는 지난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매경 ESG클럽 세미나'에서 "트럼프 2.0 시대에는 ESG가 기업 대표들의 핵심 어젠다로 격상됐다"고 밝혔다.
이 부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파리협정 탈퇴, 기후 공시 규제 중단 등 ESG 퇴행적 조치를 취함과 동시에 탄소 관세 검토와 청정기술 투자 등 실용주의 노선을 보이고 있다"면서 "미국은 탄소 관세 도입이 유리하며 이는 역설적으로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탄소국경조정세(CBAM)와 같은 제도를 도입하면 미국 내 생산자보다 탄소 배출이 많은 외국 기업에 세금을 부과해 미국 제조업을 보호할 수 있다. 이 부대표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환경 규제를 일부 완화할 가능성이 크지만 동시에 미국형 CBAM 등 미국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실용적인 정책도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신재생에너지, 인공지능(AI),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처럼 미래 산업에는 오히려 적극적"이라며 "기업들이 이 흐름을 단순한 규제 완화로 볼 게 아니라 전략적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동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