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줄서서 먹을 만하네요”...한달에 4억원 번다, 미국 전통 스테이크 맛집 인기

‘텍사스 로드하우스’ 매출 5배↑ 고품질·합리적 가격 등 호평

  • 신수현
  • 기사입력:2025.05.14 11:12:31
  • 최종수정:2025-05-14 17:14:01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텍사스 로드하우스’ 매출 5배↑
고품질·합리적 가격 등 호평
경기 평택시에 위치한 ‘텍사스 로드하우스’ 험프리점 전경. <현대그린푸드>
경기 평택시에 위치한 ‘텍사스 로드하우스’ 험프리점 전경. <현대그린푸드>

지난 4일 오후 현대백화점 판교점 지하 1층에 위치한 스테이크 전문점 ‘텍사스 로드하우스’. 식사 시간대가 아닌데도 매장 밖에서 기다리는 사람들이 꽤 있었다.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이 뛰어난 ‘미국 정통 스테이크 맛집’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가족, 연인 등이 메뉴를 보면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다.

현대그린푸드가 운영 중인 ‘텍사스 로드하우스’가 인기몰이 중이다. 텍사스 로드하우스는 미국식 스테이크를 내세운 미국의 프랜차이즈 매장으로, 2020년 말 한국에 진출했다. 텍사스 로드하우스는 경쟁사 대비 약 20~30% 저렴한 가격 정책, 한국 소비자 맞춤 메뉴 등이 고객들에게 호평을 얻으며 국내 대표 스테이크 전문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14일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로 급식사업 등을 하는 현대그린푸드에 따르면, 한국 텍사스 로드하우스의 지난해 매출은 출범 첫해와 비교해 5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매출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두 자릿수 이상 늘었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텍사스 로드하우스의 한국 내 매장은 총 7개로, 이들 매장의 월평균 매출은 약 4억원으로, 국내 스테이크 판매 1위 업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텍사스 로드하우스가 2020년 한국에 진출한 이후 지금까지 판매한 스테이크만 약 180만개에 달한다”며 “이를 쌓아 올리면 프랑스 파리 ‘에펠탑’ 111개를 쌓은 높이와 같다”고 강조했다.

현대그린푸드는 텍사스 로드하우스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면서 올해 서울에 첫 매장을 열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경기도, 지방 핵심 상권에 위치한 백화점 혹은 아웃렛에만 매장을 냈지만, 올해 서울 진출도 고려하고 있다.

현대그린푸드는 인기 비결로 스테이크의 맛, 한국인 입맛을 고려한 맞춤 메뉴 개발·출시, 합리적인 가격, 현장에서 직접 구워 제공하는 ‘식전 빵’ 등 4가지를 꼽았다.

한국 텍사스 로드하우스의 모든 스테이크는 마블링이 4~8%가량 함유된 소고기 상위 등급인 ‘초이스 등급’의 원육으로 만들어진다. 대표 메뉴인 ‘설로인’은 초이스 등급 중 마블링과 품질이 상위 20%에 드는 ‘톱 초이스 등급’이 사용된다. 최상의 식감과 육향을 구현하기 위해 고기 부위별로 숙성 기간도 다르게 한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한국 단독 메뉴를 선보인 것도 인기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한국 텍사스 로드하우스는 출범 초기 미국 현지와 동일하게 스테이크와 그릴, 튀김 요리를 중심으로 메뉴를 구성했다.

하지만 많은 한국인들은 스테이크와 파스타를 함께 먹는 것을 선호한다는 점을 간파해 2023년 11월부터 파스타 메뉴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텍사스 로드하우스 본사 담당자와 현대그린푸드 소속 요리사들이 메뉴를 공동 개발해 텍사스 로드하우스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한국인 입맛에 맞는 메뉴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합리적인 가격도 인기 요소 중 하나이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텍사스 로드하우스의 스테이크 가격은 경쟁 브랜드 대비 70~80% 수준으로, 통신사 할인 등 외부 제휴 할인을 받지 않아도 최대 약 30% 저렴하다”고 말했다.

텍사스 로드하우스 각 매장에서 직접 구워 무제한 무료 제공하는 ‘식전 빵’도 텍사스 로드하우스를 유명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스테이크 전문점에서 빵 생산 설비를 갖춰 갓 구운 빵을 제공하는 스테이크 전문점은 거의 없다. 7개 매장의 텍사스 로드하우스에서 제공한 빵만 총 500만개가 넘는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텍사스 로드하우스는 맛·품질에 집중해 대규모 광고·마케팅 활동 없이 매장당 평균 매출이 업계 최고 수준에 올랐다”며 “앞으로도 고품질의 음식·서비스 제공에 집중하고 국내 대표 스테이크 전문점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