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연 142만원 ‘햇빛연금’ 수령
파루, 자동 추적형 트래커 기술 적용

농사를 지으며 전기를 생산하는 ‘영농형 태양광’이 농촌 고령화와 소득 감소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2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전남 영광군 염산면 월평마을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마을 주민이 주도한 ㎿(메가와트)급 태양광 발전단지를 조성하고, 지난달부터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총 3㎿ 규모로 조성 중인 이 발전단지는 마을 주민 28가구가 협동조합을 구성해 수익을 공유하는 구조다. 3㎿급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는 작은 읍·면 단위 전체 가구의 전력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규모다.
1단계 1㎿는 완공돼 본격 가동 중이며, 참여 가구에는 연간 142만 원의 ‘햇빛연금’이 20년간 지급된다. 해당 부지는 염해간척지 약 5만㎡로, 농사와 전력 생산을 병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농촌의 새로운 소득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사업에는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파루(PARU)의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이 적용됐다. 파루는 국내 최초로 영농형 태양광을 상용화한 기업으로, 농지 훼손을 최소화하면서도 발전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 특히 이 시스템의 핵심인 ‘태양추적식 트래커’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패널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고정형보다 15~30% 더 많은 발전량을 확보할 수 다.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 기능도 갖췄다. 태풍 시에는 자동으로 패널을 수평으로 눕혀 바람의 영향을 줄이고, 폭설 시에는 패널을 기울여 적설을 방지한다. 이러한 기능은 원격 제어로도 작동돼, 고령 농민들도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손쉽게 운영할 수 있다.
영광 월평마을 사례는 에너지 전환 정책과 농촌 공동체의 결합 가능성을 실증한 첫 사례로, 전남도와 영광군이 공동으로 추진했다. 전남도는 이 모델을 기반으로 영농형 태양광 보급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다만, 농업진흥지역 외 일반농지의 경우 현재 설치 운영 기간이 최대 8년으로 제한돼 있어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도는 이를 30년까지 연장할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 지원 특별법’ 제정을 국회에 건의한 상태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영농형 태양광은 단순한 발전설비를 넘어, 지역소멸과 농가 소득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라며 “주민 주도의 기본소득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