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 통한 후보 교체도 법적 소송 우려
당 지도부 여론조사 돌입…오늘 6시 김문수·한덕수 만나 단일화 담판

국민의힘 지도부가 오는 11일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을 앞두고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 후보 간 단일화를 압박하고 있으나 김 후보를 강제할 방법이 사실상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록 직인을 거부하거나 전당대회 등을 통해 김 후보를 한 후보로 교체하는 방안이 당 일각에서 거론된다. 그러나 경선 절차로 선출된 김 후보가 법적 대응에 나서 승소할 수 있고, 김 후보 찍어내기에 성공한다 해도 단일화 효과는 없어진다.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김 후보가 단일화에 끝내 응하지 않을 경우 당 지도부가 후보 등록 직인, 이른바 ‘옥새’를 쥐고 저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공직선거법상 정당 추천 후보자는 당대표 직인이 찍힌 추천서를 제출해야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당 사무를 총괄하는 이양수 사무총장이 협조하지 않으면 김 후보의 선관위 후보 등록은 불가능하다.
과거에도 직인 날인을 거부한 전례가 있다. 이른바 ‘옥새 파동’이다. 2016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에서 친박근혜(친박)계와 비박근혜(비박)계 간 공천 갈등이 격화하자 김무성 당시 대표가 일부 선거구 공천에 대한 추천장에 당대표 직인 날인을 거부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이 현실적으로 이 방안을 선택하기는 힘들다. 6·3 대선에서 기호 2번을 단 자당 후보를 내는 것을 포기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전국위원회와 전당대회를 열어 김 후보를 한 후보로 교체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당헌·당규를 개정해 한 후보를 입당시켜 전국위원회와 전당대회를 거쳐 힘으로 밀어붙이는 방식이다. 김 후보에 대한 당내 반감이 커지고 있어 불가능한 시나리오는 아니다. 그러나 경선을 통해 선출된 김 후보를 ‘찍어내기’한 것이어서 단일화 효과는 없어진다. 절차적 정당성 논란과 더불어 김 후보 측이 법적 대응에 나설 수 있다.
이양수 사무총장도 6일 기자들과 만나 “후보 교체를 하면 선거가 대단히 어려워지지 않겠나”라며 “강압적으로 교체하는 건 선거에 오히려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당에서는 상정하지 않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결국 국민의힘 지도부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여론전을 통한 압박이다. 국민의힘은 7일 당원 대상 단일화 찬반 여론조사를 시작했다. 당 지도부는 이 조사를 시작으로 김 후보에 대한 조직적 압박 수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에 김 후보는 전날인 6일 입장문을 내고 “7일 오후 6시 한 후보를 단독으로 만나기로 약속했고, 이는 한 후보가 제안했다”며 “단일화와 관련해 더는 불필요한 논쟁이 없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당 지도부를 겨냥해서는 대선 후보의 당무우선권을 발동한다고 밝히며 “당 지도부는 더는 단일화에 개입하지 말고, 관련 업무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 이 시각부터 단일화는 전적으로 대통령 후보가 주도한다”고 했다. 당원 대상 여론조사에 대해서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