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2/14/news-p.v1.20250214.585748dbc1fd4d0dbccfcee79dcecc6c_P1.png)
출범 이후 연일 ‘미국 우선주의’를 외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결국 반도체 보조금을 재협상한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라 미국내 투자 기업에 미국 정부가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에 대해 트럼프 정부가 재협상을 추진 중이며 관련 지출 일부를 연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의 보조금 책정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재검토하고 변경한 뒤 일부 거래를 재협상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변경될 수 있는 범위와 기존 합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대통령 출범시 반도체법 보조금이 뒤집힐 가능성을 우려해 임기 막바지에 대미 투자 기업들과 서둘러 보조금 지급 확정 계약을 체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지원법에 대해 꾸준히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백악관에서 논의 중인 내용을 잘 아는 4명의 관계자는 백악관이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조건에 대해 특히 우려하고 있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여기에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요구한 노조 가입 노동자 고용, 공장 노동자들에 대한 저렴한 자녀 보육 서비스 제공 등 조건이 포함된다는 설명이다.
반도체산업협회는 “우리는 상무부 장관 지명자인 하워드 러트닉을 비롯해 트럼프 행정부의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해 (반도체법)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을 줄이고 칩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공동 목표를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은 뒤 중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진출 계획을 발표한 기업들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 기업으로는 인텔,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꼽힌다. 이들 기업은 중국에 대규모 제조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이같은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에 따라 미국 정부로부터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기로 하고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추진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만약 지원받기로 한 보조금을 못받을 경우 대규모 비용 손실은 물론, 공장 설립 계획이 지연될 수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미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달러(약 53조4000억원) 이상 투입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다. 미 상무부에서 지원받기로 한 보조금은 47억4500만달러(약 6조8000억원)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미 상무부는 여기에 최대 4억5800만달러(약 66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계약한 상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