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델타항공이 창립 100주년을 맞이해 성과를 돌아보고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를 가졌다. 한 세기동안 세계를 연결해 왔던 것처럼 미래에는 사람과 기술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항공업계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7일(현지시간) 에드 바스티안 델타항공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소재 스피어에서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바스티안 CEO는 이날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의 기조연설자로 무대에 올랐다.
스피어는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구체의 공연장이다. 높이 111m에 지름 157m로, 지난 2023년 9월 개장 이후 라스베이거스의 상징이 됐다. 외부 기준 축구장 7개에 달하는 세계 최대 크기의 발광다이오드(LED) 스크린과 세계 최고 해상도의 실내 LED 스크린, 첨단 오디오 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다. 좌석 개수는 1만7000개가 넘는다.
스피어에서 CES 공식 행사가 진행된 것은 처음이다. 앞서 델타항공이 스피어의 인프라를 대거 활용할 것을 예고한 만큼 기대가 컸다. 바스티안 CEO는 미디어로 구현한 비행기와 함께 등장했다. 비행기가 관객석과 가까워질수록 의자가 흔들리고 바람이 강하게 불었다. 비스듬히 멈춰 선 비행기는 참관객들을 태운 듯 활주로를 달려 날아올랐다. 몸이 떠오르는 기분이 들어 몰입감이 극대화됐다. 배경 영상도 시시각각 바뀌었다. 날씨의 변화를 겪고 국경을 넘나드는 것처럼.

바스티안 CEO는 “델타항공의 이야기는 100년 전에 시작됐다. 1925년에 델타항공의 조종사가 최초로 하늘을 날아 (델타항공을) 스타트업에서 글로벌 항공사로 이끌었다”며 “2025년에는 인공지능(AI)으로 구동되는 인간 연결이 여행 경험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것의 중심은 델타항공의 고객인 당신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여행에 적합한 기능을 갖춘 AI 에이전트 델타항공 컨시어지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AI 비서는 이용자가 방문할 나라의 항공권 구매, 여권 만료 시기와 비자·서류 체크, 공항까지 최적의 교통편 검색 등이 가능하다.
공항에서도 신기술을 만날 수 있다. 우선 증강현실(AR)이 길을 헤매지 않도록 돕는다. 게이트를 향해 걷기만 해도 생체 인식으로 출입국 심사가 끝나고, 건강 상태 확인도 이뤄진다. 수화물에는 디지털 태그가 부착돼 추적하기 편하다. 비행기에 탑승한 뒤에는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해 취향인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여행지에서는 라이브 번역 기능을 시작해 언어 장벽을 제거하고, 관광 명소와 동선을 알려 준다.
![에드 바스티안 델타항공 최고경영자(CEO)가 7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소재 스피어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이가람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1/12/news-p.v1.20250108.8df9fad9fc4b4b12b65846e21f091096_P1.png)
과거 델타항공에서 근무했거나 장기 근무 중인 파일럿, 승무원, 스태프 등을 소개하고 감사 인사를 전하는 자리도 가졌다. 델타할공 최초의 흑인 여성 수석 조종사는 이름이 불리자 벅찬 듯 미소를 지었다. 비단 고객과 주주만이 비즈니스의 중심이 아니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조비와 퀄트릭스, 우버, 에어버스, 유튜브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강화하기로 했다. 일례로 델타항공의 멤버십 스카이마일즈 가입자가 우버 및 우버이츠를 이용하면 마일리지가 쌓이고, 유튜브의 유료 구독 상품인 프리미엄을 무료로 제공하는 식이다.
바스티안 CEO는 “델타항공의 사명은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을 통해 다양한 기회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지난해 약 50억건의 항공편이 운항돼 경제 성장에 기여했지만, 전 세계 인구의 20%가량만이 항공 여행을 경험해 상당한 격차가 있다. 미래의 항공 여행은 세계를 하나로 묶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우리는 대담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우리가 꿈꿔왔던 미래의 토대를 구축하고, 기술이 장소와 사람을 연결해 여행을 초월한 경험을 제공하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재정의하고 있다”며 “이것은 새로운 시작일 수 있다. 다음 세기로 향하는 여정을 시작할 때다. 안전벨트를 매라.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약속했다.
[라스베이거스 이가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