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에 선물 건네는 젠슨황 21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오른쪽)가 도쿄 총리관저를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에게서 엔비디아가 개발한 개인용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 모형의 기념 선물을 건네받고 있다. 이날 젠슨 황 CEO는 이시바 총리에게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 생산을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젠슨 황 CEO는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일본은 로보틱스와 산업 제조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국으로서 AI 개발에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자국을 찾은 인공지능(AI) 대기업 수장을 잇달아 면담하고 나섰다. 현재 AI 관련법 제정을 준비하고 있는 일본은 AI에 대한 투자를 적극 유치한다는 각오다.
21일 일본 총리실은 이시바 총리가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를 만났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가 일본을 공식 방문한 건 지난해 11월 도쿄에서 열린 'AI 서밋 재팬 2024'에 이어 5개월 만이다. 비공식적으로는 지난 1월 이후 3개월 만으로 알려졌다.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젠슨 황 CEO는 이시바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AI 로봇과 관련해 "일본 기업에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젠슨 황 CEO는 "AI가 앞으로 의료, 제조, 교육, 농업 등 모든 산업을 혁신적으로 바꿔 그것이 어떻게 변화해갈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그러면서 "AI에 막대한 에너지가 필요해 일본은 AI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게 되고, 그것이 새로운 고용이나 기회 창출로 연결된다는 것을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엔비디아는 소프트뱅크그룹과 함께 일본 내 최고 성능의 AI 슈퍼컴퓨터 구축에 나섰다. 여기에는 엔비디아의 블랙웰 반도체가 탑재된다.
이와 별개로 소프트뱅크그룹은 미국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손잡고 일본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소프트뱅크그룹은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용 AI 사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젠슨 황 CEO는 이시바 총리 면담을 전후해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을 만나 일본 내 AI 관련 사업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지난 17일에는 도쿄 지요다구 총리관저에서 이시바 총리와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가 면담을 진행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 자리에서 "일본을 세계에서 AI를 가장 개발하기 쉽고 활용하기 편리한 나라로 만들고 싶다"며 일본이 AI를 중요한 산업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