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10.01 15:48:42
기재부, AI 현장 간담회 내년 AI 예산 10조…3배 확대 7년간 자율선박 6000억 투자 드론 5대 완성 프로젝트 추진 정부, 전략기술 세제혜택 확대
“중국이랑 AI 전환속도가 비슷하다면, AI를 개발하더라도 중국에 추월당할 수 있다는 걱정이 있습니다. 중국보다 무조건 빨리 가야 합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내경제 사령탑 역할을 하는 경제부총리의 입에서 중국에 한없이 밀릴 수 있다는 절박함이 튀어나왔다. 정부가 올해 대비 3배 많은 10조원을 내년도 AI 예산으로 편성하며 ‘성장률 반등’을 모색하고 나섰지만, 자본과 기술 모두 우리보다 앞서고 있는 중국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
이 때문에 1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HD한국조선해양 글로벌 R&D센터에서 개최된 ‘AI대전환 릴레이 간담회’에서 구 부총리는 첫 일성도 ‘중국’, 그리고 마무리 발언도 ‘중국’을 언급했다.
이날 AI대전환 릴레이의 주제는 AI선박·드론이었다. 구 부총리는 이례적으로 현장에 온 조선·드론업체 12곳 모두의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해 피드백을 줬다. 통상적인 간담회선 업계의 의견을 청취만 할 뿐,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진 않는다. 경제사령탑인 부총리가 직접 현안을 챙기는 모습을 보여주며, “AI 대전환‘과 관련된 속도전을 시사한 셈이다.
이날 선박업계는 △ 전문인력 양성 △조선사뿐만 아니라 선사까지 함께 참여해 미래전략 그리기 △ 산업현장에 AI산재 예방 기술 도입 △국산부품 구매 우선원칙 도입 △자율주행선박뿐만 아니라 조선소 AI팩토리, 친환경선박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 등을 구 부총리에게 요구했다.
구 부총리는 업계 대부분 의견에 대해 화답하며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특히 구 부총리는 “AI 자율주행선박뿐만 아니라 선박제조를 위한 AI팩토리, 친환경선박의 국가전략기술 지정도 검토하겠다”라며 “국가전략기술이 과기부, 산업부, 기재부 모두 다 다르다. 현재 세제실장한테 지시해서 국가전략기술 기준을 맞추고, 세제혜택을 주라고 지시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드론업계도 이날 정부에 여러 건의를 했다.
이날 드론업계선 △ 하드웨어인 부품국산화뿐만 아니라 드론 소프트웨어 활성화 대책 마련 △ 공공기관의 드론발주 행태 개선 (상품구매 → 용역서비스 요청) △ 군집드론 허가 활성화 등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구 부총리는 공공기관의 드론구매 현황파악을 배석 공무원에게 지시하며 “앞으로 공공기관서 드론을 직접 사들이기보다는 드론 서비스 용역을 줌으로써 ‘민간업체가 주도하는 드론 생태계’를 만들겠다”라고 답했다.
전반적으로 이날 행사는 업계의 의견을 청취하고, 구 부총리가 이에 대해 피드백을 주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구 부총리는 “과거와는 다르게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며 AI로 대전환하는 게 핵심”이라며 “150조원에 달하는 신성장펀드를 구성하는 만큼, 정부는 경쟁력 있는 업체가 커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엔 구 부총리뿐만 아니라, AI선박·드론 유관부서인 산업부, 국토부, 해수부 담당국장도 배석했다.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부처 책임자가 배석한 것이다.
정부 관계자들은 이날 AI선박·드론과 관련된 기술 개발을 위해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AI 기반 자율운행선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향후 7년간 약 6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는 지난 6년간 지원한 규모(1603억원)의 3배가 넘는 수치다. 정부는 신속한 지원을 위해 6000억원 투입과 관련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할 예정이다.
정부는 2031년까지 완전 자율비행 기술개발 목표로 AI 드론 5대 완성체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구 부총리는 서울 서초구 삼성 SSAFY 현장에도 방문하며 AI 인력 양성 현장을 둘러봤다.
삼성전자는 시대적 과제로 부상한 국가 차원의 AI 인재 육성에 기여하기 위해 SSAFY의 교육 과정을 AI 중심으로 전면 개편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8개의 AI 교육과정을 신규 도입하고 전체 1725시간의 교육시간 중 약 60%에 달하는 1025시간을 AI 교육에 할애하는 등 교육생들의 ‘AI 역량 강화’를 위해 대대적인 교육 과정 혁신을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