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5.27 09:16:56
농업소득 39% 증가·부채는 전국 평균보다 낮아 민선8기 농업정책 성과 본격화…“경남형 농업모델 안착” 딸기·파프리카 등 전략작물 가격 상승 효과 뚜렷
경남 농가의 주머니가 두둑해졌다.
지난해 경남의 농가소득이 전년보다 515만원 늘어난 5440만 원으로 집계돼 전국 9개도 중 2위를 차지했다.
경남도는 26일 브리핑을 갖고 “경남도의 농가수익이 전년대비 10.4% 증가해 전국 평균(5059만7000 원)이 소폭 감소한 것과는 반대로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농업소득은 899만원으로 39% 급증하며 전국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농업외소득은 2337만 원으로 11.4%, 이전소득은 1918만 원으로 0.4% 증가했다. 비경상소득도 285만 원으로 전년 대비 5.6% 늘었다.
반면 농가부채는 3705만 원으로 전국 평균(4501만 원)보다 796만 원 낮았고, 자산은 6억1165만 원으로 전국 4위 수준이었다.
경남도는 민선 8기 이후 추진한 농업생산성·경쟁력 강화 정책이 이번 성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대표적으로 전략 재배작물 집중 육성, 농기계 지원 확대, 스마트농업 확산 등이 농가소득 증대의 기반이 된 것으로 풀이했다.
실제로 경남은 딸기, 파프리카, 풋고추, 애호박 등 시설채소의 재배면적과 생산량 모두 전국 1위를 기록 중이다. 해당 품목의 가격 상승, 외국인 계절근로자 확대, 겸업농가 증가 등도 농가의 실질 소득 증가에 기여했다. 겸업농가 비중은 전국 평균 44.2%보다 높은 47.3%에 달한다.
경남도는 지난해 한 해 동안 ‘경남형 농업경쟁력 강화사업’에 732억 원, 스마트팜 전환 및 ICT 융복합 시설 조성에 948억 원을 투입했다. 이를 통해 청년 창업농 맞춤형 지원, 농산물 생산비 보장, 지역특화형 스마트팜 조성 등이 이뤄졌다. 농산물 수급 불안정에는 소비 촉진용 할인판매 차액 지원 등도 병행됐다.
유통과 수출 부문에서도 성과가 나타났다. 먹거리통합지원센터 건립으로 지역 순환 먹거리 체계를 구축하고, K-농산물 전략품목 해외홍보, 식품박람회 참가 등을 통해 수출 판로를 다변화했다. 축산분야 역시 배합사료 대체와 가축질병 미발생으로 인한 비용 절감, 시장 신뢰 회복 등으로 안정적인 소득 구조를 유지했다.
도는 앞으로도 벼농사 중심의 통계 반영에서 벗어나 경남의 과채류·시설원예 중심 농업구조를 정확히 반영하도록 통계청과 협의 중이다.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은 “도민의 관심과 노력, 행정의 정책이 유기적으로 작동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