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5.26 18:22:25
경남도, 서울서 ‘2025 국제 우주산업 콘퍼런스’ 개최 NASA·한화·KAI·8개국 정부 기관 참여
경남도가 우주항공청이 있는 사천을 중심으로 한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발전의 선결과제로 국제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26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2025 국제 우주산업 콘퍼런스’에서 “우주산업은 한 지역이나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이룰 수 없는 일”이라며 “국제 협력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박 지사는 이날 개회식에서 “오늘 이 자리가 우리 각 국가 간의 협력의 계기가 되어, 내년에는 글로벌 우주 강국과의 공동 연구 프로젝트 등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며 “경남도는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국제사회와의 연대 속에서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미래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주산업은 인공지능이 주도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넘어, 5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며 “경남도는 ‘글로벌 우주항공수도’를 비전으로 삼고 2033년까지 약 8조 4000억 원을 투자해 체계적인 산업 육성에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콘퍼런스는 ‘글로벌 우주항공수도 경남, 공존과 성장의 미래를 열다’를 주제로 27일인 우주항공의 날을 기념해 마련됐다. 국내외 산학연 관계자 400여 명과 온라인 참가자 600여 명 등 총 1000여 명이 참석해 우주산업의 정책·기술·산업화 전략 등을 공유했다.
이번 콘퍼런스에는 조규일 진주시장, 박동식 사천시장을 비롯해 김현대 우주항공청 항공혁신부문장, 최형두 국회의원, 아밋 쿠마르 주한 인도대사 등도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특히 NASA 존 글렌·닐 암스트롱 센터 출신 김현대 부문장은 “정부·민간·국민의 협력과 국제 연대가 함께할 때 도약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기조강연은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전인수 우주방사선센터장이 맡아 ‘뉴스페이스 전환과 NASA의 기업 지원 정책 변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 열린 세션에서는 한국 우주항공청, 호주·캐나다·체코·리투아니아·인도·멕시코 등 8개국 정부 기관이 자국의 우주개발 정책과 협력 전략을 공유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 이노스페이스, 메이사 등 국내 기업들이 발사체 기술과 AI 기반 위성 데이터 분석 사례를 발표했다.
이날 행사장 로비에서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경남 소재 5개사를 포함한 8개 기업의 홍보부스가 운영됐다. 또 호주 기업 7개사와 국내 기업 간 1:1 비즈니스 미팅도 진행돼 실질적인 기술 협력의 장도 마련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