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마다 "노는땅 활용하자" 이용 뜸한 일산 백석지하보도 사계절 과일 재배하고 카페도 대구 달서구 청사에 식물농장 '가성비' 로컬 브랜드 공급
대구 달서구 상인동 행정복지센터에 조성된 스마트팜. 달서구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도심 내 유휴 공간과 폐건물을 활용해 첨단 농업을 실현하는 스마트팜(Smart Farm) 조성 사업에 나서고 있다. 지하보도, 폐공장부터 수직농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간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스마트팜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청년 농업인 육성 모델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농업 전반에 접목해 작물의 생육 환경을 관리하고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농장을 말한다. 이 같은 스마트팜 기술을 도심과 농촌의 유휴 공간에 적극 접목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경기도는 사용 빈도가 낮아 우범 지대가 된 도심 내 지하보도, 오랫동안 방치된 공장의 폐건물을 스마트팜 용지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도심형 스마트팜과 체류형 농촌 스마트팜 두 가지 형태로 추진되는 '사회 혁신형 스마트팜 구축 사업' 일환이다. 지난 4월 농업법인 팜팜과 원에이커팜이 사업 수행자로 선정됐다.
팜팜은 사용 빈도가 낮은 고양시 백석 지하보도를 스마트팜으로 재탄생시켰다. 해당 스마트팜은 팜팜의 연중 사계절 딸기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팜, 체험 교육장, 카페 등 복합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강원도 원주시 HL만도 원주공장 용지 일부도 스마트팜 단지로 새롭게 개발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문막 일반산업단지 내 HL만도 원주공장 유휴 용지를 산업단지 환경 개선 펀드 투자 우선협상 대상지로 선정했다. 약 1만7839㎡ 규모의 HL만도 유휴 용지에 정부 펀드 150억원과 민간 자본 50억원 등 총 200억원을 투입해 2045년 3월까지 재배 시설과 냉장 창고 등을 갖춘 스마트팜을 구축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또한 도심 속 공공 유휴 용지를 활용해 친환경 작물을 재배하는 '컨테이너 스마트팜'을 설치해 환경을 보호하고 청년·노인 일자리를 늘리는 '1석3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북구는 북구새마을회 주차장 공간에 컨테이너 형태의 도시형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컨테이너 형태의 스마트팜은 용지 40㎡ 규모로 면적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 농작물을 6단까지 쌓아 올릴 수 있어 용지 사용 대비 많은 양의 수확물을 얻을 수 있다.
공공청사에 스마트팜을 조성해 운영하는 지자체도 있다. 대구 달서구는 지난해 7월부터 상인동 행정복지센터 청사에 스마트팜을 운영하고 있다. 기후위기로 채소 가격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가격에 채소를 공급하겠다는 취지다. 재배실은 8단 복층 구조로 실면적은 372㎡에 달해 대구에서는 최대 규모 도심형 스마트팜이다. 달서 상인스마트팜에서 재배되는 채소 브랜드는 '달팜'으로 지역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도시농업의 미래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스마트팜 기술의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해외 진출에 성공한 사례도 등장했다. 최근 부산에서는 지역 내 9개 공공기관이 참여한 '부산경제활성화지원기금(BEF)'의 지원을 받아 도심 곳곳에 스마트팜을 설치하고 있다. 사회적 취약계층이 직접 채소 재배에 참여하도록 하면서 스마트농업의 보급 확대와 친환경적 유통 구조 촉진,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 있다. BEF는 2021년 부산 지하철 용지에 스마트팜 1호점을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지원을 펼쳐왔으며, 최근에는 폴란드 수출까지 이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