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4.28 17:49:59
28일 노조쟁의행위 찬반투표서 찬성 압도 29일 오후 5시부터 노사 최종 합의 시도 타결 안될땐 30일 첫차부터 준법투쟁 돌입 시, “지하철 증회, 무료셔틀버스 500여대 투입”
서울시 버스노동조합이 28일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이 반대를 압도하며 2년 연속 파업을 예고했다. 노조는 사측이 통상임금 적용 범위 확대를 이유로 사실상 임금삭감을 시도하고 있다며 크게 반발하는 중이다. 이에 따라 시는 버스 노사 간 협상결렬을 대비한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가능한 모든 교통수단을 동원해 시민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서울버스노조가 이날 실시한 쟁의행위 찬반 투표 결과, 재적조합원수 1만8082명 중 1만5941명이 투표에 참여해 무려 1만5359명(96.3%)이 찬성표를 던져 압도적으로 가결됐다.
노조는 29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리는 2차 조정회의에서 사측과 임단협 교섭이 결렬되면 30일 첫 차부터 준법근무와 파업 등 쟁의행의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서울 시내버스는 지난해에도 임금인상을 둘러싸고 노사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자 2012년 이후 12년만에 노조가 파업을 실시한 바 있다.
노조는 쟁의행위에 돌입할 경우 먼저 파업 대신 준법근무 투쟁부터 나선다. 버스 운행 때 중앙차로를 제외하고 가변차로만 이용하고, 정류장 승객 확인을 철저히 하는 한편, 우회전 일시정지, 신호없는 횡단보도 앞서 우선 멈춤 등 말 그대로 ‘규정대로’ 운행이다. 이 경우 버스 노선 당 왕복 2시간 가량 운행 시간이 늘어나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 측은 이후에도 사측과 협상에 진척이 없을 경우 파업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원만한 노사합의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서울경찰청과 긴밀한 협조로 버스 운행에 이상이 없는지 모니터링하고 교통 혼잡 지역에 교통경찰을 배치해 원활한 버스 통행을 유도할 방침이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3일까지 9차례 중앙 노사 교섭과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사전 조정 회의를 가졌지만 통상임금 적용 확대와 기본급 인상, 정년 연장 등 여러 쟁점에 대해 입장차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2년간 임금동결, 해고·징계 사유 확대, 유급휴가 폐지, 자녀 학자금 지원 중단, 정규직 노동자와 동일노동을 수행하는 촉탁직 노동자에 대한 임금삭감 무제한 허용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노조는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한 8.2% 기본급 인상과 현행 만 63세인 정년을 경기도와 같은 만 65세로 연장, 인권침해적 암행감시에 의한 징계 등 불이익 조치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통상임금 적용 범위 확대는 양측의 갈등에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와 버스회사는 작년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로 정기 상여금이 통상 임금에 포함돼 현재의 임금체계를 유지할 경우 임금이 자동 인상되는 효과를 거두는 만큼 임금체계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노조는 “노동위원회에서 통상 임금 포기를 요구하는 서울시의 태도는 교섭을 의도적으로 파행시키려는 부당 노동 행위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통상 임금을 줄이기 위한 탈법 행위”라며 “특히 단체 교섭에서 단 한 푼의 임금 인상 없이 오히려 임금 삭감을 관철시키려는 의도가 명백하다”고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 등 인근 수도권 버스 대비 처우 불만도 드러내고 있다. 노조는 “서울과 동일하게 준공영제로 운영되는 인천시 버스는 서울보다 임금 수준을 높게 유지하고 있고, 경기도 역시 서울과 비슷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면서도 노동 강도는 훨씬 낮은 상황”이라면서 “서울서 일하는 버스 노동자의 인력 유출이 심각하고 연차휴가조차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노조의 파업에 따른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 본부를 구성해 24시간 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 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등 교통운영기관과도 협력체계를 구축해 종합적인 수송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 및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1일 총 173회를 증회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도 다음날 새벽 2시까지 연장해 심야 이동도 지원한다.
또한, 지하철 출퇴근 등을 빠르게 연계하기 위해 서울 25개 각 자치구에서는 무료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점에서 지하철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민·관 차량 500여 대를 즉시 투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출근 시간에 집중되는 이동수요를 분산하고자 시내 초·중·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 등교 및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