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비롯한 지방 '악성 미분양'이 두 달 연속 늘면서 지역 부동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준공이 끝났지만 팔리지 않는 '불 꺼진 아파트'가 늘고 있는 것이다. 부산의 미분양은 역대 처음으로 7000가구를 넘어섰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8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2만7584가구로 집계됐다. 전달보다 1.9% 늘어난 수치다. 이 가운데 83.9%인 2만3147가구가 지방에 몰려 있다.
준공 전 단계까지 포함한 전국 전체 미분양은 6만6613가구로 한 달 새 7% 증가했다. 전국 전체 미분양 규모는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다가 지난달 반등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4631가구로 전월 대비 10.1% 증가했다. 지방은 6.2% 늘어났다.
특히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 불리는 부산에서 미분양이 7000가구 선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8월 부산 미분양은 7146가구로, 전월 5573가구보다 28.2% 늘었다. 이 가운데 준공 후 미분양은 2772가구로, 전달 2567가구 대비 8% 증가했다.
공급지표도 위축됐다. 8월 주택 인허가는 1만7176가구로 1년 전보다 40% 가까이 줄었고, 착공과 준공 역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에서도 공급이 둔화됐다.
거래 시장도 냉각됐다. 8월 전국 주택 매매 건수는 4만6252건으로 전달보다 28% 줄었고, 수도권은 37.5%, 지방은 16.8% 감소했다. 6·27 대책으로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묶인 영향이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임대차 시장도 위축됐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는 21만3755건으로 전달보다 12.4% 줄었다. 같은 기간 전세는 17.6% 감소했다.
[홍혜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