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4.26 19:59:46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과거 고용노동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일제시대 우리 국민의 국적은 일본이었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을 뺏겨서 일본이 강제 일본 국적으로 만들었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김 후보는 안철수·한동훈·홍준표 후보(가나다순)와 함께 26일 오후 MBN 주관으로 개최된 국민의힘 2차 경선 4강 토론회에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홍 후보는 김 후보를 향해 “나라의 3대 요소가 영토, 주권, 국민”이라며 “만약 일제시대 우리 국적이 김 후보의 주장처럼 일본이었다면 ‘을사늑약’이라는 말이 나올 수가 없다. 강제로 (국적을) 빼앗기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홍 후보는 이어 “만약 국적이 일본이었다는 주장을 계속하게 되면 일제시대 독립운동은 전부 내란(이 된다)”이라며 “우리 독립투사들은 일본 국적을 갖고 일본을 반대했기 때문에 내란 행위를 한 거다. 지금이라도 (발언에 대해) 사과하는 게 어떠냐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우리 국민의 민족은 한국 민족이지만, 당시 한국 국적을 뺏겨서 일본이 강제로 우리를 일본 국적으로 했다는 뜻”이라며 “손기정 선수가 대표적이다. 일장기를 달고 베를린 올림픽에 나가서 금메달을 땄다. 무국적이면 왜 일장기를 달고 나갔겠나”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왜 독립운동을 했나. 우리 국적을 찾기 위해서, 대한민국 국가를 찾기 위해서 한 것”이라며 “무국적 상태라면 일본이 가만히 내버려뒀겠나”라고 주장했다
홍 후보는 이에 “(김 후보는)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의 동일성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라고 명시한 1986년 외교부 공식 문서 내용에 동의하지 못한다고 했다”며 “대한제국에서 임시정부로 갔다는 것을 부인해서는 안 된다. 김 후보 주장은 강제로 한 약탈혼도 유효하다는 주장과 동일하다”고 꼬집었다.
김 후보는 “외교부 공식 문서에 규범적으로는 동의해야 한다”면서도 “1965년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돼 그전에 했던 것은 무효가 됐다. 일제시대 때 우리 국적이 뺏긴 상태를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정부의 입장은 한일기본조약을 소급해서 규범적으로 우리 국적을 빼앗기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후보는 또 “(김 후보가) 김구 국적도 중국인이었다고 이야기했다가 사과하지 않았나”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중국인이 아니라 중국인이라는 설이 있다(는 것인데), 확실하게 입증할 수 있던 게 없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사과했다”고 답변했다
후보 4명이 경쟁하는 국민의힘 2차 경선은 ‘선거인단 투표 50%·일반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이뤄진다. 선거인단 투표는 모바일과 ARS로 오는 27∼28일 이틀간 진행된다. 2차 경선 결과 시점은 오는 29일 오후 2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