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CEO·사진)가 앞으로 웹(인터넷)은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상호작용하는 '오픈 에이전틱 웹'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레드먼드 본사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연례 개발자 행사 '빌드 2025'에서 나델라 CEO는 "앞으로는 사람이 만든 AI 에이전트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다른 AI 에이전트와 정보를 나누고 지시한 업무를 수행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그는 "오픈 에이전틱 웹은 우리가 개발자들과 함께 구축하고자 하는 플랫폼이며 검색에서 시작해 (인터넷의) 개념을 완전히 바꿔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NL웹이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발표했다. 이는 최근 에이전트를 개발하는 회사들이 표준으로 도입하고 있는 MCP를 웹사이트로 확장한 것이다. NL웹을 통해 인터넷의 모든 웹사이트에 대화형 AI 에이전트가 탑재되고, 이 AI 에이전트가 사이트를 찾는 또 다른 AI 에이전트와 서로 소통하게 된다. NL웹은 AI 검색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NL웹이 AI 검색 시대 웹사이트 운영자들에게 대안이 되기를 기대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NL웹을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공개한 것은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MCP뿐만 아니라 구글의 에이전트 표준인 A2A까지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영상으로 참석했다. 머스크가 설립한 회사 xAI가 만든 그록3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를 통해 서비스되기 때문이다. 머스크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법적 분쟁 중인 만큼 테크 업계에서는 의외라는 반응이 나온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코딩 에이전트인 깃허브 코파일럿 코딩 에이전트를 공개했다. 바이브 코딩이 유행하면서 관련 서비스를 내놓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