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5.12 18:43:07
“양방과 한방 의사 대표단체 만나 지역의료 붕괴 등 현안 해결하자”
대한한의사협회가 대통령 후보들과 윤성찬 한의협회장,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등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열자고 의협에 공식 제안했다. 양방 공중보건의사 부족과 수도권 쏠림 현상에 따른 지역의료 붕괴 등의 현안을 하루 빨리 해결하자는 취지다.
한의협은 12일 입장문을 내고 의협의 지난 8일 기자회견을 정면 비판했다. 한의협 관계자는 “양의계는 대국민 신뢰를 잃고 이미지마저 실추되고 있음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다”며 “양의계 내부 분란을 한의사에 돌려 사태를 수습해보려는 꼼수”라고 말했다.
의협이 ‘의대와 한의대의 교육과정을 비교해보자’고 주장한 데 대해선 “한의대와 의대 교육이 75% 유사하다는 건 의협이 직접 연구해서 발표한 것”이라며 “마치 한의계가 주장한 것처럼 호도하는데 기자회견문을 의사들이 작성한 게 맞는지 의심될 정도”라고 말했다.
정부의 한의 난임지원 사업에 대해서는 효과성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한의협 관계자는 “이미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한의 난임지원 사업을 지원하고 있고 의약품용 한약재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엄격한 품질관리를 거쳐 공급되고 있다”며 “초음파와 뇌파계, 엑스레이(X-Ray) 등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과 관련해서도 사법부의 준엄한 판결이 있었고, 이후의 행정적인 절차는 한의계와 정부부처가 협의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양의계가 최우선으로 해야 할 일은 의료공백을 메우는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한의협 관계자는 “양의계는 내부의 비난 여론을 외부로 돌리기보단 필수의료 붕괴와 턱없이 부족한 양방 공보의 문제, 의대증원 불발로 인한 양의사 부족과 진료공백 등을 해결하는 데 힘써야 한다”며 “대선 정국임을 고려해 한의협과 양의협이 머리를 맞대고 여야 대통령 후보와 함께 생산적인 논의를 해보자”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직결된 사안인 만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당 후보들과 한의협회장, 양의협회장이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며 “의협의 빠른 입장 표명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