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지율이 19%까지 추락했다. 5년 전 '중도층으로의 외연 확장'을 내걸고 미래통합당에서 당명을 바꾼 이래 최악의 성적표다. 핵심 지지 기반이던 대구·경북과 70대 이상에서도 여당보다 지지율이 낮다. 스스로 혁신할 의지가 없다고 보고 희망을 접은 것이다. 입법부의 한 축인 보수 정당이 날개도 없이 추락하는 모습에 국민은 참담할 뿐이다.
11일 한국갤럽 발표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도는 19%로, 더불어민주당(43%)과 두배 이상 차이가 벌어졌다. 지역별로 서울에서 국민의힘은 15%, 민주당은 41%로 세 배 가까운 격차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27%, 민주당 34%로 보수의 텃밭에서마저 열세다. 가장 보수적인 70세 이상에서조차 민주당 34%, 국민의힘 33%다. 이제 '고령층과 TK'만 믿고 버틸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민심이 국민의힘에 등을 돌린 이유는 명확하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과 탄핵 논란에 당은 탄핵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한남동 관저 앞에서 수십 명의 의원이 체포 저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등 떠밀리듯 혁신위를 구성했지만 인적 쇄신은 못하고 '시늉'에 그치고 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새 혁신안을 내놨지만, 벌써 일부 의원들은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더 이상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회의론이 팽배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각자도생을 위한 권력 다툼에 더 집중하고 있다. 이러다 '이재명 정부의 실정이 있으면 민심이 돌아오겠지'라는 안이한 분위기도 감지된다.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도 민주당의 독주를 견제할 수 있는 건전한 보수 정당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의 국민의힘으로는 그 역할을 해낼 수 없다. 이대로 가면 내년 지방선거는 참패가 아니라 괴멸이 될 수 있다. 혁신위가 인적 쇄신을 포함한 혁신을 못 한다면, 8월 전당대회 결과에 따라 당을 근본부터 다시 세워야 한다. 그때도 기득권 유지를 위한 계파 정치에 머물면 보수의 미래는 없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은 표로 다시 심판할 것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