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사교련)가 지난 8일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성명서에서 "논문 표절 등 의혹에 대해 충분한 해명을 못 한다면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동료 교수들조차 장관 임명에 반대하는 것을 보면 그에게 제기된 의혹들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이 간다. 대표적인 것은 논문 표절 여부로, 고된 연구 성과가 논문으로 집약되는 점을 감안하면 타인 논문을 베껴 쓰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이 후보자는 충남대 교수 시절 제자 논문을 요약해 학술지에 발표하고, 중복 게재한 의혹도 받고 있다. 최근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제자 논문에 나온 사진과 표는 물론 비문 표현까지 그대로 사용한 것을 표절 증거로 제시했다. 제자 논문에서 '10m정도'라는 문구를 잘못 입력해 '10mwjd'라고 쓴 것을 확인도 안 하고 논문으로 냈다니 한심한 일이다.
특히 이 후보자는 새 정부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을 주도했다는 것 말고 교육체계 개선을 위해 무슨 활동과 소신을 갖고 있는지 알려진 바도 없다. 초중고 교육 정책은 더욱 그렇다. 사교련도 "총장을 역임했음에도 대학 정책에 관한 글도 비전도 찾아볼 수 없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두 딸을 중고교 시절 미국에 조기 유학 보냈다고 한다. 의무교육 대상인 중학생을 홀로 유학 보내는 것은 초중등교육법 위반이다. 일찌감치 자녀를 외국에 보낸 사람이 공교육 정상화를 주장하는 것은 모순으로 비칠 수 있다.
교육부 장관은 국가 교육의 백년대계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자리다. 수많은 학생과 학부모, 교직자들을 상대로 정책을 펼치려면 높은 윤리성이 요구된다. 그런 만큼 교육부장관에 대한 논문 표절 검증은 더 엄격해야 한다.
이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들을 보면 '교육 수장을 맡을 인물이 이렇게도 없나' 하는 한숨이 나온다. 행여 이 후보자나 여당은 다수 의석을 믿고 인사청문회만 버티면 된다고 여겨선 안 된다. 표절 의혹을 소명하지 못한 채 장관을 맡는다는 것은 교육계는 물론 사회 전반의 기강을 흔드는 일이다. 명확한 해명을 하기 힘들다면 스스로 거취를 정하는 것이 순리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