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5/27/news-p.v1.20250526.5ab10d4a29584431a76916e1172ad73d_P1.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대해 다음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놨던 ‘50% 관세’를 7월 9일까지 유예한다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관세와 관련해 “절대 타협하지 않겠다”는 강경 입장을 보이다 연이어 후퇴를 선언한 사례가 또 하나 추가된 셈이다.
더군다나 EU에 대한 관세는 공식화되기도 전에 유예를 선언해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성’이 한층 심해진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저지주 소재 자신의 골프장에서 주말을 보낸 뒤 백악관으로 복귀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의 전화 통화한 사실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내게 전화를 걸어와서 ‘6월 1일’이라는 날짜를 미루길 요청했다”며 “그는 진지한 협상을 원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EU에 대한 관세 부과 일정을 6월 1일에서 7월 9일로 옮기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7월 9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애초 지난달 각국에 대해 차등 부과한 상호관세 유예(90일)가 만료되는 시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EU에 대한 상호관세를 20%로 책정했다고 지난달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23일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서 미국과 EU 간 협상이 지연되고 있다고 꼬집으며 다음달 1일부터 EU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같은 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EU에 대한 관세와 관련해 “이제 내가 아는 게임 방법으로 게임을 해야 할 때”라며 “협상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협상 (내용을) 정한다. 그것은 50%”라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과 통화가 이뤄진 것은 그로부터 이틀 만이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SNS 엑스(X)에 올린 글에서 “좋은 합의에 도달하려면 7월 9일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신이 지난 23일 밝혔던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방침과 관련해 “그것(US스틸)은 미국이 통제하게 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나는 그 거래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와 관련해 “투자이고, 부분적 소유권(partial ownership)”이라고 말해 묘한 여운을 남겼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US스틸과 일본제철 간에 계획된 파트너십”을 거론하며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교도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계획을 승인했다고 백악관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정확한 의미는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부분적 소유권’ 형태는 통상적인 인수·합병이라기보다는 지분 인수 개념에 가깝다.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를 두고 미국과 일본 간 혼선이 빚어질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헷갈리는’ 행보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대표적으로는 지난달 2일의 상호관세 발표가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후 “내 정책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고 선언했지만, 지난달 9일 시행 13시간 만에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시장 불안감이 고조되자 ‘유턴’을 선택한 것이다.
더군다나 상호관세율을 산정하는 방식도 관세·비관세 무역장벽을 고려해 산정한다더니 상대국과의 무역적자를 토대로 주먹구구식으로 계산해 조롱을 받기도 했다.
캐나다와 멕시코 대상의 25% 관세도 미국 업계 반발이 이어지자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품목은 대상에서 제외했다. 중국에 대해서도 거친 언사와 함께 즉흥적인 보복을 거듭하다 관세율을 145%까지 올렸고, ‘관세전쟁’ 휴전을 선언하며 관세율을 30%로 낮췄다.
그런가 하면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품목관세를 두고 강행 입장을 보이더니 업계의 반발에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 관세를 1년간 면제하고, 다음 연도에는 면제 비율을 10%로 낮추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절대 예외가 없다”고 으름장을 놨던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도 영국에 대해서는 철폐하기로 했다.
경제학자 라이언 스위트와 버나드 야로스가 “EU에 대한 관세 제안은 협상이 난관에 부딪힐 때마다 트럼프 행정부의 수단으로 계속 쓰일 수 있는 리스크를 보여준다”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