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고경영자(CEO)가 앞으로의 웹(인터넷)은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상호작용하는 ‘오픈 에이전틱 웹’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레드먼드 본사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연례 개발자 행사 빌드2025에서 나델라 CEO는 “앞으로는 사람이 만든 AI에이전트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다른 AI에이전트와 정보를 나누고, 우리가 지시한 업무를 수행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그는 “오픈 에이전트 웹은 우리가 개발자들과 함께 구축하고자 하는 플랫폼이며 검색부터 시작해 (인터넷의) 개념을 완전히 바꿔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NL웹이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발표했다. 이는 최근 에이전트를 개발하는 회사들이 표준으로 도입하고 있는 MCP를 웹사이트에 확장한 것이다. NL웹을 통해 인터넷의 모든 웹사이트에 대화형 AI에이전트가 탑재되고, 이 AI에이전트가 사이트를 찾는 또다른 AI에이전트와 서로 소통하게되는 것이다. NL웹은 AI 검색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사이트의 내용을 검색하기 위해 AI에이전트와 대화를 하면되기 떄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NL웹이 AI 검색 시대 웹사이트 운영자들에게 대안이 되기를 기대했다. AI 검색에서는 해당 사이트로 사용자들이 방문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기반을 둔 기존 광고 사업이 큰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NL웹을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공개한 것은 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MCP뿐만 아니라 구글의 에이전트 표준인 A2A까지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화상으로 참석했다. 머스크가 설립한 인공지능 회사 xAI가 만든 그록3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를 통해 서비스 되기 때문이다. 머스크 CEO는 “그록이 스페이스X와 테슬라에서 이미 상당히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면서 “(그록을) 다른 기업들에게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도 화상으로 등장했다. 올트먼 CEO는 나델라 CEO와 코딩에이전트에 대해서 얘기를 나눴다. 기조연설 막바지에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화상으로 참여했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AI코딩 에이전트인 깃헙 코파일럿 코딩에이전트를 공개했다. AI가 대부분의 코드를 작성하는 바이브 코딩이 유행하면서 관련된 서비스를 내놓은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외에도 AI 파운드리, AI비주얼스튜디오 등 서비스에서 업데이트 사항도 공개헀다.
[실리콘밸리=이덕주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