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플러스 사이즈 승객’은 2인 좌석 구매해라?…여객기 체격 차별논란에 ‘시끌’

  • 권민선
  • 기사입력:2025.04.24 12:18:21
  • 최종수정:2025.04.24 12:18:21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 = elliottdotorg 페이스북]
[사진 = elliottdotorg 페이스북]

비행기 좌석 하나에 몸을 겨우 욱여넣는 초고도비만 승객의 사진이 다시 확산되면서, 전 세계 항공업계가 ‘플러스 사이즈 승객’ 대응 방안을 두고 논쟁에 휩싸였다.

미국 힙합 그룹 프리티 리키는 최근 소셜미디어(SNS)에 사진 한 장을 공유하며 “항공사들이 체격이 큰 승객을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사진은 2023년 9월 미국 언론인 크리스토퍼 엘리엇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덴마크 코펜하겐으로 가는 비행기에서 촬영한 것으로, 통로 좌석 팔걸이에 몸을 걸치고 앉은 남성의 모습이 담겼다.

프리티 리키는 “큰 체격의 승객뿐 아니라 옆자리에 앉은 승객도 불편을 겪는다”며 항공사의 기준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사진이 확산되자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한 좌석에 앉지 못할 정도라면 두 좌석 요금을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다리가 긴 사람도 추가 요금을 내고 공간을 확보하는데, 체격이 큰 사람에게도 비슷한 기준이 적용돼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일부는 “체크인 전 체중을 측정하고, 일정 기준을 넘기면 추가 요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반면 “체격이 크다는 이유로 탑승을 거부하거나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건 차별”이라는 반박도 적지 않다.

미국의 고도비만 인플루언서 제일린 채니. [사진 = jaebaeofficial 틱톡]
미국의 고도비만 인플루언서 제일린 채니. [사진 = jaebaeofficial 틱톡]

미국의 고도비만 인플루언서 제일린 채니는 최근 비만을 이유로 탑승을 거부당했다며 1인 시위 영상을 SNS에 올려 30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그는 “애초에 나를 위해 설계되지 않은 좌석에 맞추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라는 건 부당하다”면서 “고도비만 승객도 동등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만 승객의 좌석 이용을 둘러싼 이번 논쟁은 단순히 승객 간 불편을 넘어, 항공사의 책임과 사회적 포용성이라는 더 큰 질문으로 이어지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