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아이 낳으면 700만원?…출산율 韓 2배인 美도 저출산대책 모색

트럼프 정부, 출산율 제고 정책 제안받고 있어 700만원 현금 지원·월경주기 교육 등 접수돼

  • 정수민
  • 기사입력:2025.04.22 17:19:19
  • 최종수정:2025.04.22 17:19:19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트럼프 정부, 출산율 제고 정책 제안받고 있어
700만원 현금 지원·월경주기 교육 등 접수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출산율 제고를 위한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4월 21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인이 결혼해서 더 많은 자녀를 가지도록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백악관 참모들은 출산율을 높이려는 각종 단체로부터 출산율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제안을 받고 있다고 한다.

NYT에 따르면 참모들이 접수한 제안에는 정부가 후원하는 장학 제도인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의 전체 장학금 중 30%를 결혼했거나 자녀가 있는 지원자에게 할당하자는 방안이 있다. 아이를 낳은 모든 산모에게 현금 5000달러(약 700만원)를 ‘베이비 보너스’로 지급하자는 등 현금 지원 방안도 포함됐다. 또 여성이 배란과 임신이 가능한 시기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월경주기에 대해 교육하는 프로그램에 정부 예산을 투입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이런 저출산 대책이 실제로 시행될지는 불확실하나, J.D. 밴스 부통령과 일론 머스크를 비롯한 행정부 인사들이 저출산 문제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머스크는 지금까지 공개된 것만 14명의 자녀를 두고 있으나, ‘문명 붕괴를 막겠다’는 일념으로 정자 기증과 대리모 출산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앞서 숀 더피 교통부 장관도 “출산율과 혼인율이 국가 평균보다 높은 지역에 교통 예산을 우선해서 배정하겠다”고 했는데, 그에게도 9명의 자녀와 10명의 형제자매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지난 3월 26일 백악관에서 열린 ‘여성 역사의 달’ 기념행사에서 체외인공수정(IVF·시험관) 지원 정책을 소개하면서 스스로를 “수정(fertilization) 대통령”이라고 부르는 등, 향후 이를 주요 의제로 다룰 조짐이 있다고 NYT는 보도했다.

한편 통계기구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현재 미국 인구는 약 3억4700만명으로 추정된다. 지난 2023년 기준으로 미국의 합계 출산율(여성 1명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수)은 1.62명으로 0.72명인 한국의 2배 수준이지만, 지난 2007년부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미국에선 고령화하는 인구와 사회안전망을 지탱하기 위해 출산율을 높여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