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사이언스온(ScienceON), AI 연결 … 대한민국 R&D 글로벌 경쟁력 강화 앞장

  • 기사입력:2025.05.13 16:13:31
  • 최종수정:2025-05-14 00:05:16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설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이식)이 구축·운영 중인 인공지능(AI) 기반 연구 생태계 혁신 서비스 ScienceON(사이언스온)이 대한민국 연구개발(R&D)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과학기술 지식 인프라스트럭처 ScienceON은 과학기술 정보, 연구 데이터, 정보 분석 서비스 및 연구 인프라를 연계·융합해 연구자가 필요로 하는 지식 인프라를 한곳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다.

연구자는 아이디어 발굴, 펀딩 정보 파악, 실험, 과제 수행, 공유&협업, 성과 창출, 기술이전 등 R&D 단계별로 필요한 지식 인프라를 안내·제공받고 활용할 수 있다.

ScienceON은 2019년 서비스 개시 이후 △이슈 대응형 융합서비스 'ScienceON TREND' △이용 통계 기반 분석 정보 서비스 'ScienceON Analytics' △AI 기반 연구 지원 서비스 개발 등으로 지능형 연구 환경 조성을 선도했다.

특히 AI 기술을 접목한 △AI-Helper(논문 요약, 번역 및 용어 설명) △AI-Reviewer(다중 논문 비교분석 및 질의응답) △SAI(거대언어모델을 적용한 RAG 기반의 대화형 검색 서비스) 등 국내 최초의 과학기술 정보 중심 AI 서비스 제공으로 연구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ScienceON은 1억8000만여 건의 과학기술 정보를 통합검색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원 23만명, 연평균 방문자 2100만명 △연간 API 활용 2억4000만건 △누적 페이지뷰 25억 를 기록하는 등 높은 이용률을 자랑한다.

한상준 KISTI 데이터서비스센터장은 "연구 전 주기를 지원하는 연구 생태계 혁신 서비스 ScienceON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지능화하고 있다"며 "연구 수월성을 극대화하고 대한민국 R&D 성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핵심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수진 매경AX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