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어촌 지역의 야간 보행자 교통사고 치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사고로 사망한 보행자 920명 중 471명(51.2%)이 야간에 사고를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사고를 당한 보행자 수는 주간이 야간보다 1.5배 많지만, 사망 사례는 야간에 더 많은 것이다.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 야간 교통사고 치사율은 도시보다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단위 지역의 경우, 야간 교통사고로 인해 보행자가 사망에 이르는 치사율이 8%에 달했다. 반면 시는 3.3%, 구는 2.2%에 그쳤다.
통상 '군'으로 분류되는 농어촌 지역은 가로등 등 안전시설이 도시 지역에 비해 미흡하다. 운전자가 전조등에만 의존해야 하다 보니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더해 고령인구가 많다는 점도 농어촌 교통사고 발생률을 높인다. 고령자는 운동능력, 인지능력, 시각능력 등이 떨어지기 때문에 운전자·보행자 모두 청장년층에 비해 야간 교통사고에 취약하다.
야간에 발생한 차 대 보행자 교통사고는 대부분 '운전자 부주의'가 발생 원인으로 파악되지만, 육안으로 보행자가 식별되지 않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사고도 빈번하다.
경찰청이 지난 20년간 집계한 '65세 이상 보행자 월별 사망 현황'에 따르면, 월평균 노인 사망자는 9월 77.8명에서 10월 93명으로 급증하고, 11월에 97.5명으로 최고치를 찍었다. 10월과 11월에 노인 보행자 사망 사례가 빈발하는 것은 9월 하순에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추분을 지나면서부터 밤이 본격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이다. 경찰 관계자는 "운전자들이 밝았다가 갑자기 찾아온 어둠에 익숙하지 않은 상태라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야간 보행자 사망 사고를 막기 위해서 도로에 '빛'을 늘려야 한다고 말한다. 예컨대 가로등, 매립식 점등형 표지병, 횡단보도 투광기 등을 설치하는 것이다. 밤길을 나설 때 보행자가 빛을 반사하는 반광조끼를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노인 보행자 사망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도로 정비 기금을 별도로 마련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통법규 위반으로 부과한 과태료·범칙금 중 일부를 교통시설 개선에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지범 울산과학기술원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교수는 "한국 고령자의 교통사고 사망률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며 "무작정 노인보호구역을 확대하는 방법은 실효성이 떨어진다. 보행자 교통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장소를 추리고, 집중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혜진 기자 / 문광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