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매일경제가 법원 등기부등본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133㎡는 부산 해운대구에 거주하는 60대 A씨가 106억원에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거래는 서울에서 처음으로 3.3㎡당 2억원 시대를 개시한 것으로 주목받았다.
등기부등본을 살펴보면 이 주택에 대한 근저당권은 설정되지 않았다. A씨는 주택담보대출을 일으키지 않은 셈이다. A씨가 이미 보유한 주택을 팔지는 않은 것으로 봐서 전세를 끼고 주택을 구매하는 '갭투자' 가능성이 크다.
A씨가 사들인 주택은 한강 조망권을 확보한 동시에 고층이어서 높은 프리미엄을 인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단지 인근 한 공인중개사는 "반포동에서 가장 선호되는 단지인 데다 로열동에 한강 조망까지 갖추며 희소성이 부각됐다"고 설명했다.

지방 거주자의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 매수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에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2월 강남 3구 아파트 구매자 중 서울 외 거주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5.5%로 집계됐다. 지난해 9~11월엔 외지인 비중이 17~18%에 불과했지만, 올해 2월 들어서는 7~8%포인트가량 외지인 매입 비중이 커진 셈이다.
이는 서울시가 올해 2월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시기와 일치한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 적용되는 '실거주 의무' 족쇄가 풀리며 지방 거주자의 서울 주택 투자 행렬이 거세졌다는 분석이다.
강남권 아파트값 급등세에 정부와 서울시가 황급히 지난 3월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체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며 서울 아파트 원정 투자 열기는 일시적으로나마 식은 상태다. 하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기간이 6개월인 만큼 규제 연장 여부에 따라 언제든 열기는 다시 달아오를 수 있다.
지방 자산가들의 서울 '똘똘한 한 채' 매수세는 상업용 부동산 침체와 맞물려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과거에는 자산가들이 빌딩을 사는 게 추세였다면 최근엔 공실 위험이 높고 환금성도 떨어져 상업용 부동산 인기가 떨어졌다"며 "강남 아파트가 자산가들에게 인구 감소 시대 마지막 재테크 피난처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유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