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안규백 "남북 접경지 군사훈련, 일방적 중단 없다"

국방장관, 간담회서 신중론
"훈련은 軍 감각 익히는 것"
'과속논란' 대북 유화책에 제동
9·19합의는 단계적 복원해야
민간 비전투원 15만명 보충
현역 합쳐 50만명 유지할 것

  • 김성훈
  • 기사입력:2025.10.01 18:02:22
  • 최종수정:2025-10-01 20:03:07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설명
안규백 국방부 장관(사진)이 9·19 남북군사합의 복원을 추진하되, 한국군이 먼저 군사훈련을 중단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지난달 30일 안 장관은 서울 용산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반도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9·19 군사합의 복원에는 공감하지만 '선제적인 훈련 중단은 없다'며 선을 그은 것이다. 그는 "군인은 기본적으로 훈련을 해야 한다. 우리가 일방적으로 멈출 수는 없다. 저쪽(북한)도 중지하면 모를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훈련을 한다는 것은 감각을 익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안 장관 발언은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지난달 25일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에 따라 재개된 사격훈련과 실기동훈련을 중단하는 것이 맞다"고 말한 것과는 상반된 언급이다. 이는 정 장관을 비롯한 이른바 '자주파' 인사들이 급진적·선제적 대북 유화 조치를 강조하는 가운데 국방 수장으로서 신중론으로 대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안 장관은 지난달 해병대가 9·19 군사합의상 해상완충구역 내에서 진행한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에 대해서도 "내가 승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9·19 군사합의 복원은) 서로 밀고 당기며 대화를 통해 해결할 문제이지, 우리가 일방적으로 멈추는 것은 어렵다"고 덧붙였다. 다만 안 장관은 "9·19 군사합의는 잠정 중지 상태이지 파기된 것은 아니다"면서 단계적으로 훈련 강도를 조정할 여지를 뒀다. 지금까지 실사격 훈련에서 '100발'을 쐈다면, 단계적으로 '50~70발' 정도로 사격량을 줄이면서도 교육훈련 자체를 유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안 장관은 저출생으로 인한 병역 자원 감소 현상에 대해서는 과감한 '아웃소싱'으로 50만 병력을 유지하겠다는 복안을 내놨다.

그는 "전투병 중심의 현역 군인은 35만명을 유지하고, 경계 인력 등 비전투 분야는 전부 아웃소싱하려고 한다"면서 "후방지역 주둔지 경계도 '경비' 개념으로 전환해 민간기업을 활용하는 등의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고가의 첨단무기체계를 운용하는 기술부사관 중심 장기복무자들은 4만명대로 유지해 병력의 '질'을 높이겠다는 구상도 함께 제시했다. 안 장관은 간담회에서 향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자주국방을 위해 매년 8% 이상 국방예산을 계속 증액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원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살기 위해 국방비를 증액할 수밖에 없다"며 현실론을 폈다.

한편 군 당국이 이달 중순 계획했던 연례 대규모 실병기동훈련인 '호국훈련'을 다음달로 미루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군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는 당초 오는 15일부터 중부지역 일대에서 약 일주일간 실시하려던 호국훈련의 연기를 검토 중이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군에서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군 장성 인사 일정 등을 고려해 훈련 연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