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동맹 현대화 요구를 자주국방 실현 기회로 활용해 전작권을 되찾고 한반도에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주도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은 셈이다. 이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기존에 정부가 사용했던 전작권 '전환'이라는 표현 대신 '회복'라는 용어를 써서 눈길을 끌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회복'이라는 표현으로 직접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자주국방을 실현하는 방안으로 △스마트 정예강군 △방위산업 육성 △군 장병 처우 개선 등을 제시했다. 그는 우선 내년도 국방 예산을 전년 대비 8.2% 늘어난 66조3000억원으로 편성해 첨단무기체계를 도입하고, 인공지능(AI)·드론·로봇 등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비를 대폭 증액해 전작권 전환 조건인 한미 연합작전 주도 능력과 대북 감시정찰·억제 전력을 갖추기 위한 토대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군의 날 행사장에는 △협업 기반 자율탐사로봇 △무인수색차량 △무인잠수정 △저피탐 무인편대기 등 첨단장비가 대거 전시됐다. AI 기술을 적용한 유·무인 복합무기체계 확충은 인구 절벽 시대에 병역 자원이 감소하는 데 대응할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하다.
[김성훈 기자 / 오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