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일보·한국갤럽이 지난 3~4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김 후보와 한 예비후보가 단일화를 이뤄 이준석 후보까지 3자 대결을 하면 이재명 후보는 모두 49% 지지율을 기록했다.
김 후보를 포함하면 이재명 후보 49%, 김 후보 33%, 이준석 후보 9%였다. 한 예비후보가 나서면 이재명 후보 49%, 한 예비후보 36%, 이준석 후보 6%였다. 만약 이준석 후보까지 '반이재명 빅텐트'가 성사돼 양자 대결이 되더라도 이재명 후보는 상대 후보에 관계없이 51~52% 지지율을 보였다.
YTN·엠브레인퍼블릭이 지난 4~5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도 비슷하다. 김 후보를 포함한 3자 대결에서 이재명 후보 48%, 김 후보 29%, 이준석 후보는 8%였다. 한 예비후보를 넣어도 이재명 후보가 47%, 한 예비후보 34%, 이준석 후보는 6%였다. 중앙일보 조사는 휴대전화 면접 방식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응답률 17.8%), YTN 조사는 전화면접 방식(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응답률 16.9%)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일단 민주당에선 오는 15일 파기환송심을 미루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재판이 빠르게 진행돼 자칫 법원에 의해 후보 자격이 박탈되는 최악의 상황은 막겠다는 취지다. 민주당이 전날 조 대법원장에게 오는 12일까지 이재명 후보 관련 재판을 모두 대선 이후로 미루라고 요구한 데 이어 이날 박범계 선대위 공명선거법률지원단장은 "조속히 이재명 후보 재판 관련 기일 변경 신청을 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 임기 중 진행하던 재판을 중지하는 형사소송법 개정안 입법 전략도 고심하고 있다. 박균택 민주당 의원은 "다음달 3일 대선 전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시켜 놓고, 거부권 행사를 막기 위해 4일 이후 새 정부에 법안을 보내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재판부가 기일 변경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는 불안감도 엿보인다. 박 의원은 "오는 15일 파기환송심 첫 기일엔 이재명 후보가 출석하기 어려울 것 같다"면서도 "16일이나 그다음 주 월요일(19일)에 궐석재판을 하고 선고하는 상황이 오면 큰일"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높은 지지율을 기반으로 대국민 여론전에 나서는 동시에 조 대법원장에 대한 공세 수위를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 박 단장은 "조 대법원장은 표적 재판의 사실상 기획자이자 집행자"라며 "탄핵 사유에 해당한다"고 경고했다. 이건태 선대위 대변인은 조 대법원장을 향해 "국민의힘이 집요하게 요구하던 파기자판을 검토한 사실이 있는지 밝히라"며 "사실이라면 대법원장이 내란 세력의 꼭두각시임을 자인한 셈"이라고 압박했다.
법 개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민주당은 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를 열고 허위사실공표 구성요건에서 '행위'라는 용어를 빼는 것을 골자로 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단독 처리할 계획이다. 이재명 후보가 오는 15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로 파기환송심을 앞둔 상황에서 관련 법 개정에 나선 것이다. 앞서 이재명 후보는 지난 대선을 앞둔 2021년 고(故) 김문기 씨를 성남시장 시절 몰랐다고 말하고, 국정감사에서 국토교통부 협박으로 백현동 용지 용도를 상향했다고 해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로 기소됐다. 지난 1일 대법원은 이에 대해 유죄 취지 파기환송 판결을 내렸다. 민주당 측은 "허위사실공표 중 행위는 자의적인 법 해석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지방 경청투어를 이어가고 있는 이재명 후보는 충북 증평에서 "농지개혁으로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체제를 만든 훌륭한 정치인 조봉암은 사법살인이 됐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 일도 없이 내란음모죄로 사형선고를 받은 일이 있다"고 말했고, 옥천에선 "육영수 여사가 문세광에게 살해당했는데, 정치적 이유로 돌아가셨다"고 했다. 이승만 정부 초대 농림부 장관인 조봉암은 이 전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결별하고 진보당을 창당했다가 간첩죄 및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처형됐다. 2011년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무죄가 선고돼 복권됐다.
일각에서는 사법부를 자극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법제처장 출신 이석연 공동선대위원장은 "탄핵 사유가 '된다'와 '탄핵을 해야 한다'는 분리해서 봐야 한다"며 "지금 탄핵하는 것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종원 기자 / 구정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