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미국 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25 국제 지식재산지수'에서 처음으로 10위권에 들었다. 특허청은 한국이 55개국 중 종합 10위를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12~13위권을 유지했고, 작년 11위에 이어 올해 톱10에 진입했다.
국제 지식재산지수는 특허권, 상표권, 영업비밀, 지식재산 집행, 시스템 효율성, 국제조약 가입 등 10개 분야, 53개 세부지표를 종합해 산출된다. 한국은 특허권 분야에서 8년 연속 2위, 상표권 분야에서 4위, 시스템 효율성 분야에서 6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올해 순위가 오른 것은 영업비밀보호 분야에서 약진한 덕분이다. 한국은 이 분야에서 작년(16위) 대비 7단계 상승한 9위에 올랐다. 이는 2024년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을 통해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처벌 및 손해배상을 대폭 강화한 성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미국이 1위였고 영국, 프랑스, 독일, 스웨덴이 뒤를 이었다. 일본이 7위, 중국은 24위에 올랐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로 지식재산권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허청이 추진 중인 '명품특허' 전략을 통해 지식재산 사업화를 촉진해 한국의 지식재산 수준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원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국제 지식재산지수는 특허권, 상표권, 영업비밀, 지식재산 집행, 시스템 효율성, 국제조약 가입 등 10개 분야, 53개 세부지표를 종합해 산출된다. 한국은 특허권 분야에서 8년 연속 2위, 상표권 분야에서 4위, 시스템 효율성 분야에서 6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올해 순위가 오른 것은 영업비밀보호 분야에서 약진한 덕분이다. 한국은 이 분야에서 작년(16위) 대비 7단계 상승한 9위에 올랐다. 이는 2024년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을 통해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처벌 및 손해배상을 대폭 강화한 성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미국이 1위였고 영국, 프랑스, 독일, 스웨덴이 뒤를 이었다. 일본이 7위, 중국은 24위에 올랐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로 지식재산권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허청이 추진 중인 '명품특허' 전략을 통해 지식재산 사업화를 촉진해 한국의 지식재산 수준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원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