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치열해진 AI비서 경쟁 …'스마트 홈'으로 앞서가는 아마존

아마존 '알렉사 플러스' 공개
음성 AI어시스턴트 알렉사에
생성형AI 적용해 업그레이드
식물 보여주면 관리방법 제시
패션·인테리어 관련 조언까지
애플 '시리'는 개발 속도 더뎌
2027년께 진짜 대화형 서비스

  • 이덕주
  • 기사입력:2025.03.10 16:12:22
  • 최종수정:2025.03.10 16:12:22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2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파노스 파나이 아마존 디바이스 및 서비스 부문 수석 부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아마존
2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파노스 파나이 아마존 디바이스 및 서비스 부문 수석 부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아마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개인 AI 어시스턴트 개발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 개인의 생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맞춤형 AI 어시스턴트를 만들기 위해 아마존, 애플, 구글, 삼성전자 등 테크 기업들이 본격적인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미국 아마존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알렉사 플러스' 공개 행사를 열었다. 아마존이 공개한 음성 AI 어시스턴트 '알렉사'에 생성형 AI를 적용해 업그레이드한 것이 '알렉사 플러스(+)'다.

이날 공개된 알렉사 플러스는 챗GPT의 어드밴스트 보이스 모드처럼 뛰어난 음성 인식 능력과 대화 능력을 보여줬다. 알렉사 플러스는 다양한 지식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AP통신, 로이터통신, 워싱턴포스트 같은 언론사로부터 실시간 뉴스를 검색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알렉사 플러스가 탑재되는 아마존 디바이스.
알렉사 플러스가 탑재되는 아마존 디바이스.
아마존의 AI 어시스턴트 전략에는 '스마트 홈 디스플레이'가 중심에 있다. 이날 행사에서 모든 데모는 아마존의 스마트홈 허브인 '에코 쇼(Echo Show)'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에코 쇼는 스마트홈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중앙 컨트롤 기기이면서 디스플레이가 탑재돼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는 기기다.

에코 쇼를 통한 알렉사 플러스 인터페이스에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음성 외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조작해 알렉스 플러스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진다. 스마트 캠인 '링'의 녹화 영상을 보는 것이 대표적이다.

에코 쇼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카메라로 상호작용도 가능하다. 알렉사 플러스는 카메라로 사용자를 관찰할 뿐만 아니라 알렉사 플러스가 보고 있는 것에 대해 질문을 하면 답을 해주기도 한다. 생성형 AI의 멀티 모달리티 능력이 적용된 것이다. 아마존에 따르면 식물을 보여주면서 관리 방법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고, 패션이나 인테리어 아이디어를 구할 수도 있다.

아마존의 키즈 서비스에도 알렉사 플러스가 도입된다. 새로운 키즈 플러스에서 알렉사는 더 많은 지식을 갖고 있고 더 훌륭한 스토리텔러가 된다.

아마존은 기존에 존재하던 알렉사 서비스에 생성형 AI를 도입하면서 개인 어시스턴트 경쟁에서 앞서 나가게 됐다.

애플이나 구글의 스마트폰 기반 AI 어시스턴트 발전 속도가 느린 상황에서 이미 스마트홈 제품과 서비스를 가지고 있는 아마존이 기존 서비스에 생성형 AI를 빠르게 도입한 모습이다.

구글이나 애플에 비해 AI 어시스턴트 공개는 늦었지만, 이번 발표를 통해 알렉사 플러스가 많은 서비스에 적용돼 있음을 보여줬고, 다양한 고객 유스케이스도 찾아냈다.

고객들의 알렉사 플러스 사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아마존은 '아마존 프라임' 구독자 모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강수를 뒀다. 원래는 월 20달러를 지불해야 하는 서비스다.

알렉사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AI 어시스턴트는 애플의 '시리'다. 애플은 지난해 애플 인텔리전스와 생성형 AI가 도입된 '시리'를 공개했으며, 지난해 말부터 이를 정식 서비스로 출시하고 있다. 애플은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AI 어시스턴트를 내놓겠다고 했지만, 현재 나온 버전에서 소비자들 반응은 좋지 않다.

블룸버그의 애플 전문기자인 마크 거먼은 애플 내부자들 말을 인용해 2027년 iOS 20이 나올 때가 돼야 시리가 진짜 대화형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홈에서 시리의 적용은 스마트폰 시리가 안정화된 이후에나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애플도 스마트홈에 AI 도입을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다. 아마존처럼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스마트홈 허브가 곧 출시될 에정이다. 장기적으로는 스마트폰의 시리가 스마트홈에서도 나의 생활을 도와주는 모습이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애플의 생성형 AI 개발 역량이 경쟁사에 비해서 떨어진다고 평가했다. 삼성이 구글 제미나이, 아마존이 앤스로픽의 클로드를 사용한 것처럼 AI 기업들과 파트너십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올해 1월 공개된 갤럭시 S25와 갤럭시 AI에는 구글의 제미나이가 중요 AI 엔진으로 들어왔다. 제미나이와 음성으로 대화하고, 음성으로 명령을 내려서 일정을 추가하는 등 AI 비서처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제미나이는 멀티 모달리티 능력을 갖춰 사용자가 보는 것을 함께 보고 커뮤니케이션하는 것도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플랫폼을 이용해 갤럭시와 스마트홈을 연결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개인용 스마트폰에서부터 스마트홈까지 심리스(Seamless·끊김 없이)하게 연결되는 통합된 AI 어시스턴트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7만8000명이 읽고 있는 글로벌 트렌드 뉴스레터인 '미라클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만나보세요. 검색창에 '미라클레터'를 입력하거나 QR코드를 스캔해 무료로 구독할 수 있습니다.



사진설명
[실리콘밸리 이덕주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