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원전 청사진은 빠진 기후에너지부 출범사…이래서 AI 하겠나 [사설]

  • 기사입력:2025.10.01 17:56:03
  • 최종수정:2025.10.01 17:56:03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기후·환경과 에너지 정책을 총괄하는 공룡부처 '기후에너지환경부(기후부)'가 1일 출범했다. 김성환 초대 장관은 출범식에서 "진정한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명확한 탈탄소 전환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부문이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물·대기·에너지 정책 전반을 아우르게 된 만큼 기후부의 역할은 막중하다. 그러나 출범사 어디에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수단인 원전에 대한 언급이 없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김 장관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핵심 과제로 내세웠다. 그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체계를 대전환하고, 전기차·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탄소중립 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누적 34GW 수준의 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100GW 수준으로 늘리고 이를 햇빛연금·바람연금·마을연금 형태로 국민에게 환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에너지안보의 중심축인 원전에 대한 청사진은 쏙 빠졌다는 점이다. 이는 다분히 의도적이라는 인상을 준다. 김 장관은 과거부터 줄곧 탈원전을 강조해왔고, 이달 초에도 윤석열 정부가 확정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공론화 과정을 거쳐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행보가 이어지니 '탈원전 시즌2' 아니냐는 염려가 터져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원전은 탄소중립을 실현할 유력한 수단일 뿐 아니라 인공지능(AI) 시대 폭증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핵심 에너지원이다. 마침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샘 올트먼 오픈AI CEO를 만나 한국의 AI 전환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AI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삼겠다면서도 정작 안정적이고 값싼 전력 공급원인 원전을 외면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전력 대책 없는 AI 전략은 공허한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

기후부가 진정한 '컨트롤타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병행하는 균형 잡힌 에너지 로드맵을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만 AI 시대를 떠받칠 전력 안보를 확보하고 한국 산업의 경쟁력을 지켜낼 수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