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초밥 수요 많은 日, 공급부족에 쌀값 '들썩'

흉작에 사재기까지 겹쳐
1년새 쌀가격 2배 치솟아
외국인관광객 수요도 한몫
밀가루 고기 식단 늘어난 韓
1인당 쌀 소비량 지속 감소
"한국 쌀 日수출은 일시적"

  • 이지안
  • 기사입력:2025.04.21 17:56:41
  • 최종수정:2025-04-21 23:21:33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설명
한국이 35년 만에 일본으로 쌀을 수출하게 된 배경에는 일본의 쌀 공급량이 일시적으로 급감한 영향이 있다. 반면 한국은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쌀이 남아도는 상황이다.

21일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기후 악화에 따른 생산 감소, 정부의 비축미 방출 지연이 맞물리면서 일본 내 쌀값이 급상승했다. 일본은 이상 고온으로 작황이 부진해 2023년 쌀 생산량이 1년 전보다 9만t 줄어든 661만t을 기록했다.

공급 부족 우려가 확산하면서 소비자와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 쌀값 상승세에 기름을 부었다. 특히 일본 기상청이 지난여름 대규모 지진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가정용 쌀 구매가 급증해 작년 8월 일본의 쌀 구매량은 2023년 동월 대비 29% 증가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쌀값 대응에 실패했다. 쌀 구매량이 폭증하던 지난해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사태를 관망하다 올해 3월에야 정부 비축미 21만t을 방출했다. 이후 10만t을 추가 공급한다고 했지만 이미 가격이 한참 오른 뒤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간한 해외동향시장 보고서에선 "많은 (일본 쌀) 시장 관계자들이 산지 쟁탈전을 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증가했음에도 쌀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다고 할 정도"라고 현지 상황을 전했다.

일본은 기본적으로 '스시(초밥)'와 '오니기리(주먹밥)', 덮밥 등 음식문화로 인해 쌀 소비가 유지되는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12년 56.2㎏에서 2022년 50.9㎏으로 10년간 약 10% 줄었다.

한편 한국산 쌀이 일본으로 수출되자 벼 재배면적을 줄여 나가는 정부 정책에 대해 일부 비판이 제기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일본과 한국의 쌀 시장 구조가 전혀 다르다고 지적했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은 만성적인 과잉 생산 구조를 갖고 있어 시장 수요에 맞춘 감산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5.8㎏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998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처음 100㎏ 아래로 떨어진 후 2019년부터는 50㎏대에 머물렀다. 2023년 하루 평균 쌀 소비량은 152.9g으로 즉석밥 한 개(200~210g)보다 적은 양이었다.

한국의 식생활이 밀가루·고기·채소 중심의 식단으로 전환하고,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혼밥 문화와 외식·배달 증가로 패스트푸드, 빵, 면 요리 소비가 늘어나 쌀 소비량은 갈수록 줄고 있다.

2022년 기준 일본의 쌀 재고율은 소비량 대비 12% 수준이었지만 당시 한국은 34.7%에 달했다. 서진교 GSnJ 인스티튜트 원장은 "국내 쌀 재고는 올해 말 150만t을 넘을 가능성이 크며, 200만t을 초과하면 가격 하락 압력이 본격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한국산 쌀의 일본 수출이 지속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농협이 일본 현지에서 판매하는 한국산 쌀은 10㎏당 약 9만원으로, 일본산 쌀(10㎏ 기준 8만원대 중반)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크지 않다. 특히 일본 정부가 전략적으로 수입하는 물량의 경우 연 77만t까지 무관세인데, 이들은 대부분 미국·태국·호주산이 차지하고 있다.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농협은 지난 10일부터 한국 농협 온라인 쇼핑몰과 일본 도쿄 내 코리아타운인 신오쿠보 슈퍼 등에서 지난 8일 통관을 마친 전남 해남산 쌀 2t을 판매했다. 농협은 다음달 중순 10t을 추가 공급하고 나머지 10t의 출하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일본 내 쌀값 상승세가 지속되자 현지 소비자들의 선제적 구매가 큰 탓으로 보고 있다.

[이지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