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Stage] 객석 점유율 99% ‘베니스의 상인들’ 다시 온다

창극으로 만나는 셰익스피어 희극 6월 7~14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 올라

  • 박찬은
  • 기사입력:2025.05.26 18:37:18
  • 최종수정:2025.05.26 18:37:18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창극으로 만나는 셰익스피어 희극
6월 7~14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 올라

3만 송이 꽃과 6미터 대형 범선, 한국 전통 재료에 이탈리아 레이스를 덧댄 의상. 2023년 초연 당시 객석점유율 99%를 기록한 창극 ‘베니스의 상인들’이 2년 만에 돌아왔다. 영국의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5대 희극 중 하나인 『베니스의 상인』을 해학적인 창극으로 풀어낸 ‘베니스의 상인들’이 오는 6월 국립극장 무대에 오른다.

2023 ‘베니스의 상인들’ 초연 장면
2023 ‘베니스의 상인들’ 초연 장면

젊은 상인들 대자본에 대항하다

돈 대신 1파운드의 살덩어리를 요구했던 샤일록과 그에게 돈을 빌린 안토니오. 국립창극단은 셰익스피어의 고전을 독점적 대자본에 대항하는 젊은 소상인들의 이야기로 바꿔냈다. 베니스 무역업자 안토니오를 소상인 조합의 젊은 리더로, 유대인 고리대금업자 샤일록은 선박회사를 운영하는 노회한 대자본가로 설정한 것.

그동안 ‘리어’ ’트로이의 여인들’ ’메디아’ 등 고전 비극을 특유의 한의 정서로 선보인 국립창극단이 2년 전 초연 당시, 이례적으로 고전 희극을 통해 우리 소리의 해학을 살려내 많은 화제를 모았다. 주인공 안토니오가 고리대금업자 샤일록에게 돈을 빌리고 갚지 못하며 벌어지는 원작 중심 서사는 따라가되, 종교적 · 인종적 편견은 걷어내고 현대적 관점으로 각색해 많은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2023 ‘베니스의 상인들’ 초연 장면
2023 ‘베니스의 상인들’ 초연 장면

‘베니스의 상인’이라는 원작 제목에 복수형 ‘들’을 붙인 것 역시 젊은 상인들이 이루어가는 공동체적 연대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포샤, 네리사 등 주도적인 여성 캐릭터를 등장시켜, 원작의 가부장적 요소도 덜어냈다.

자유롭고 낭만적인 분위기의 ‘벨몬트’에서는 젊은 연인들의 사랑 이야기가 펼쳐지고, 냉혹한 법이 지배하는 ‘베니스’에서는 안토니오와 샤일록의 인육 재판이 진행되는 반전을 즐길 수 있다. 법‧규칙에 얽매인 베니스는 무채색 의상의 사람들과 회색빛 노출 콘크리트 송판을 활용해 물안개가 낀 듯한 차가운 도시의 분위기를 강조한다. 반면에 벨몬트는 자유롭고 사랑으로 서로를 포용하는 곳으로 열대 휴양지의 느낌을 살린 밝은 조명과 화사한 색채로 표현돼 있다.

민은경(포샤 역)
민은경(포샤 역)
2023년 ‘베니스의 상인들’ 초연 당시 공연 장면
2023년 ‘베니스의 상인들’ 초연 당시 공연 장면

[창극 ‘베니스의 상인들’ 줄거리]
베니스 상인조합의 리더 안토니오의 의형제 바사니오는 벨몬트 섬의 상속자 포샤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포샤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기 전 남긴 유언에 따라 포샤와 결혼을 하려면 막대한 청혼 자금을 지참하고, 시험의 방을 통과해야만 한다. 사랑에 빠진 바사니오를 위해 안토니오는 자신의 가슴살 1파운드를 담보로 베니스의 대자본가 샤일록에게 돈을 빌리려 한다. 한편, 샤일록은 이 기회를 통해 눈엣가시였던 상인조합을 해체할 계략을 꾸민다.
초연 당시 샤일록 역 김준수(좌), 안토니오 역 유태평양(우) ⓒ노승환
초연 당시 샤일록 역 김준수(좌), 안토니오 역 유태평양(우) ⓒ노승환

3만 송이 꽃과 6미터 대형 범선 등 풍성한 대극장 무대 선보여

올해 공연에서는 지적이면서도 섬세한 연출로 정평 난 이성열(연출), 고전을 현재로 치환하는 데 일가견이 있는 김은성(극본), ‘귀토’ ’리어’ 등에 참여한 한승석(작창), 대종상 영화제 음악상을 네 차례 수상한 원일(작곡) 등 초연 크루가 그대로 뭉쳤다. 전통 판소리의 장단과 선율에 충실하면서도 노랫말의 호흡과 말맛은 관객에게 자연스럽게 전달한다는 것이 제작진의 목표.

작창가 한승석은 창극 ‘베니스의 상인들’을 위해 역대 창극단 작품 중 최다인 62개 곡을 도입했으며, 그와 함께 창작타악그룹 ‘푸리’를 이끌고 있는 작곡가 원일은 국악기에 아이리쉬 휘슬·마림바 등 이국적인 서양악기와, 창극엔 잘 안 쓰이는 전자음악과 비트까지 이번 공연에 접목했다.

2023년 초연 당시_베니스의 상인들 연습실 사진
2023년 초연 당시_베니스의 상인들 연습실 사진

중심 인물인 안토니오와 샤일록 역은 초연에 이어 국립창극단 간판스타 유태평양과 김준수가 다시 한번 맡았다. 벨몬트의 주인이자 지혜로운 여인 포샤 역은 민은경이 맡아 폭발적인 소리와 생동감 있는 표현력으로 진취적이면서도 사랑에 빠진 여인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포샤와 사랑에 빠진 젊은 청년 바사니오 역은 김수인이 맡아 풋풋한 매력과 정열적인 에너지를 발산한다.

무려 48명의 출연진이 무대를 채우는 만큼 조연배우진도 돋보인다. 포샤에게 투박하고 거칠게 청혼하는 해적왕 역 이광원, 부패한 판사 디에고 역의 서정금 등 외에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 젊은 상인과 선원, 가족들 등 베니스 시민들이 새롭게 추가됐다. 초연에 이어 이번에도 대극장에 걸맞은 풍성한 볼거리와 시원한 소리가 관객을 찾아갈 예정이다.

베니스의 상인들 초연 장면(안토니오 역 유태평양)
베니스의 상인들 초연 장면(안토니오 역 유태평양)

작품은 연대와 사랑의 힘으로 정의를 실현하고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이상적인 결말로 끝맺는다. 젊어진 국립창극단이 어떤 셰익스피어를 보여줄지, 또 초연과 현재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보고 싶다면 오는 6월 7~14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을 찾아가면 된다.

[박찬은 기자 사진 국립극장]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981호(25.05.27)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