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AI 인프라 솔루션 기업 ‘텐’, 기술력으로 80억원 투자 유치

  • 남궁선희
  • 기사입력:2025.05.16 08:58:00
  • 최종수정:2025.05.16 08:58:00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 사진 제공 : 주식회사 텐 >
< 사진 제공 : 주식회사 텐 >

AI 인프라 솔루션 기업 주식회사 텐(대표 오세진)이 기술력과 시장성을 앞세워 이달 8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LG유플러스, KDB산업은행, 퀀텀벤처스코리아, 어센도벤처스가 참여했으며, 특히 LG유플러스와는 AI 인프라 플랫폼 공동 개발 등 인프라 운영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업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벤처 투자가 전반적으로 위축된 상황에서 텐의 독자적인 기술 경쟁력이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 AI 인프라 시장에서 텐이 보유한 GPU 기반의 인프라 활용 최적화 기술이 대규모 수요에 대응 가능한 확장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갖췄다는 점을 평가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텐은 GPU 중심 인프라 활용 최적화 기술을 바탕으로, 산업 전반의 AI 도입 기반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텐의 주력 제품인 AI Pub(에이아이펍)은 작업 부하와 운영 환경에 따라 하나의 GPU를 세분화하거나 여러 GPU를 묶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인프라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기술은 기업의 AI 개발 속도를 향상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로 국방과학연구소, LG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한화시스템, 현대모비스, 주요 대학 등 다양한 고객군에 기술을 공급하며 신뢰성을 입증했다.

또한 텐은 AI 모델의 특성과 사용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컴퓨팅 자원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실험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인프라 구성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모델-자원 매칭에 대한 실증 기반 분석 역량은 업계에서 차별적인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이미 AI를 운영 중인 기업은 물론,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들까지 텐을 먼저 찾게 만드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설립 5년 차를 맞은 텐은 국내 시장 기반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AI Pub(에이아이펍)은 사실상 업계 표준(de facto standard)으로 자리 잡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기반으로 설계돼, 확장성과 호환성이 뛰어나다.

창업 당시 ‘AI 모델이 우선’이라는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AI 모델이 아닌 인프라 영역을 선택한 오세진 대표의 행보 역시 주목받고 있다.

오세진 대표는 우수한 AI 모델만큼이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인프라의 중요성을 일찌감치 간파하고, AI 인프라 솔루션 개발에 집중해 왔다.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영역에 과감히 뛰어들어 다져온 기술력은, 이제 시장에서 점차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오세진 대표는 “텐은 향후 ‘AI 전용 클라우드’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해,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까지 아우르는 End-to-End AI 인프라 솔루션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라며 “사업 확대에 발맞춰 우수 인재 영입에도 적극 나서고, 글로벌 수요에 즉각 대응 가능한 제품 경쟁력과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텐을 세계가 선택하는 AI 인프라 플랫폼 기업으로 키우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