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치매 머니’ 154조…고령 치매 환자 자산 GDP 6.4%

국내 첫 ‘치매 머니’ 전수조사 부동산 114조·금융 재산 33조

  • 정혜승
  • 기사입력:2025.05.07 17:02:58
  • 최종수정:2025.05.07 17:02:58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국내 첫 ‘치매 머니’ 전수조사
부동산 114조·금융 재산 33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65세 이상 고령 치매 환자들이 보유한 자산인 이른바 ‘치매 머니’가 국내총생산(GDP)의 6.4%인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국민건강보험공단·서울대학교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실시한 고령 치매 환자 자산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치매 머니’ 전수 조사는 국내 최초로 진행됐다.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 환자는 2023년 기준 총 124만398명으로 이 중 76만4689명(61.6%)이 자산 보유자였다. 이들이 보유한 자산은 153조5416억원으로 1인당 평균 자산은 약 2억원이다.

자산은 크게 소득과 재산으로 구분된다. 고령 치매 환자의 소득 총액은 6조3779억원, 재산 총액은 147조1637억원으로 이들의 자산 대부분은 재산이었다.

재산을 유형별로 보면 부동산이 전체 74.1%인 약 113조7959억원으로 가장 많다. 금융 재산이 약 33조3561억원(21.7%)으로 뒤를 이었다. 그 외 재산이 117억원 정도다.

치매 머니 규모는 인구 고령화로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치매 노인은 2030년 178만명, 2040년 285만명, 2050년에는 396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저고위는 치매 머니도 덩달아 증가할 것으로 봤다. 치매 머니는 2030년 220조원, 2040년 351조원, 2050년에는 488조원까지 불어날 수 있다. 2050년 추산액(488조원)은 예상 GDP의 15.6%에 해당한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앞으로 매년 치매 머니 규모 변동 상황을 분석해 공개할 것”이라며 “치매 머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원 대책도 마련해 연말에 발표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