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8.21 23:21:34
18~19일 주니어대표 선발전서, 김도현 김현우 손준혁과 함께 뽑혀, 고1때 당구 시작…군복무 마친 21세 예비역
지난 18~19일 김포 페리빌리어드에서는 장차 한국당구를 짊어지고갈 74명이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9월 스페인에서 열리는 세계주니어3쿠션선수권 국가대표에 선발되기 위해서다. 세계주니어3쿠션선수권은 미래 당구스타의 등용문이다. 김행직(4회) 조명우(3회)은 일찌감치 주니어무대를 평정한 후 세계정상의 선수로 성장했다.
이번 선발전에는 김도현(부천상동고부설방통고 2) 김현우(수원 칠보중3) 손준혁(부천시체육회) 정상욱(서울)이 18.5대1의 경쟁률을 뚫고 대표로 뽑혔다. 한국은 2023년 오명규(강원) 우승에 이어 2년만의 정상탈환을 노린다. 세계주니어3쿠션선수권에 출전할 국가대표 4명의 각오를 들어봤다. 첫 번째는 정상욱이다.
▲간단하게 자기소개를 부탁한다.
=서울당구연맹 소속 정상욱이다. 2003년생으로 올 1월 전역해서 3월 국토정중앙배부터 본격적으로 대회에 출전하고 있다. 2023년 남원 전국당구선수권까지 출전했고 고등학교 졸업 후 전남 장성 상무대 근무지원단에서 군복무했다. 현재 당구수지는 35점이다.
▲세계주니어3쿠션선수권대회 국가대표로 선발됐다.
=예선을 전체2위에 해당하는 성적(2승, 애버리지 1.667)으로 통과했다. 본선 때는 컨디션이 좋지 않아 최대한 경기에 집중했다. 특히 14점 차를 뒤집고 승리한 8강전(상대 오은석)이 최대 고비였다.
▲당구를 치게 된 계기는.
=어렸을 때 취미로 테니스를 쳤는데 코치님이 “공을 다루는 재능이 있다”고 하셨다. 하지만 점차 흥미를 잃고 테니스를 그만뒀는데, 재능을 살려보자는 아버지 권유로 세현고등학교(서울 강서구) 1학년때 당구를 배웠다.
▲고등학교 때 기억에 남는 대회는.
=고등부 준우승을 했던 2021년 전국 종별학생당구선수권대회(전남 영광)다. 하지만 예선 탈락이 더 많았다. 고등학교 졸업이 다가오면서 “군대를 빨리 갔다오는 게 낫다”는 주위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당구선수로서의 미래를 멀리 보고 빠르게 군복무를 마치기로 결정했다.
▲군생활은 어땠나.
=경비소대에 배치받고 정문위병소에서 근무했다. 좋은 선후임과 생활하면서 서로 잘 챙기며 지냈다. 덕분에 정신적으로 성숙해졌다. 부대 안에 당구장이 있었지만 군생활이 우선이어서 당구를 많이 치지는 못했다.
▲군복무 후 달라진 점이 있다면.
=당구를 대하는 태도나 자세다. 고등학생 때는 평범했다면 이제는 선수로서 성적을 내야겠다는 책임감이 크다. 아직 군인정신이 남아 있어 올 1월 전역한 후 롤링스톤당구클럽과 비쿠라운지에서 거의 하루도 쉬지않고 연습했다.
▲군복무로 당구 감각이 무뎌지지 않았는지.
=처음에는 많이 헤맸다. 자세가 부자연스럽고 애버리지가 낮아서 고민이 많았다. 그럴 때마다 서울당구연맹 소속 선수들이 많이 도와줬다. 예전에는 박수영(강원) 정예성(경북)선수에게 도움을 받았고, 지금은 김광현 김동룡(이상 서울) 선수에게서 조언을 많이 듣는다.
▲다른 주니어 국가대표 선수들과 아는 사이인가.
=(손)준혁이는 짧게나마 고등학생 시절 같이 연습했던 사이인데 군대 갔다오고 잘하는 모습을 보니 부러웠다. 김도현 김현우 선수는 나이 차가 있어서 잘 모르지만 앞으로 자주 볼 사이니 이번 국가대표를 계기로 많이 친해지겠다.
▲강민혁(대구) 김한누리(화성) 나태형(고양) 이강 김회승(이상 서울) 등 2003년생 동갑내기 선수들이 많다.
=이번 선발전에 뽑혀도 이상할 게 없을 정도로 실력있는 친구들이다. 앞으로 열심히해서 뒤처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
▲9월 스페인 세계주니어3쿠션선수권에 임하는 각오는.
=시상식에서 대한당구연맹 허해용 수석부회장님의 “김행직 조명우 선수가 세계주니어선수권 우승을 발판으로 더 큰 무대로 진출했다”는 말씀을 마음에 새겼다. 이번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면 자신감을 얻고 다른 대회에도 좋은 영향을 줄 것 같다. 내년에도 선발전에 참가할 수 있지만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메달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 [김기영 MK빌리어드뉴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