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을버스 업체들이 대중교통 환승 수익금 정산액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마을버스 업체들은 이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운행 중단도 불사할 뜻을 내비쳤다. 서울 시내버스 역시 임단협이 난항을 겪으며 파업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최악의 경우 서울 교통대란이 벌어질 전망이다.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 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지난 16일 이사회를 열어 '재정지원기준액 신속 결정 및 현실화 등 촉구 서한문'을 의결하고 20일까지 시에 답변을 요구했다.
조합은 "오는 22일 임시총회를 열어 운행 중단 또는 준법운행 등의 대응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라며 "시내버스와 달리 서울시가 손실분을 다 보전해 주지도 않는데, 버스가 다닐수록 손해를 보는 현 구조에서는 더 이상 정상 운행이 어렵다"고 밝혔다. 서울 마을버스조합이 정산비율 재조정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2004년 대중교통 환승제가 시행된 이후 처음이다. 조합은 안전운행과 배차 간격 유지를 위해 올해 마을버스 대당 재정지원기준액을 지난해(48만6000원)보다 2만3720원 오른 50만9720원으로 요청했다. 그러나 시는 49만1000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마을버스 운수업체는 140곳으로 현재 서울시와 재정지원기준액 책정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이 재정지원기준액을 바탕으로 운송원가를 산정한다. 조합이 제시한 안에 따르면 시는 약 30억원을 추가 지원해야 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