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신고의식 향상에 서울 작년 6만 7226건 1년 만에 39%나 늘어 연령대·성별 안가리고 폭음 여전한 음주 문화
취객을 데려가 달라는 신고가 해마다 크게 늘어나고 있다. 서울 번화가 곳곳에서 술에 취해 쓰러져 자는 사람들을 불편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시민이 많아지면서 공공장소 내 주취자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예전 같으면 '남 일'로 넘겼을 취객도 이제는 공공질서를 해칠 수 있는 존재로 여겨지면서 시민들의 신고가 이어지고 있다.
1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서울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청에 접수된 주취자 관련 112 신고는 총 6만722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4만8432건과 비교해 38.8%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112 신고가 427만여 건에서 390만여 건으로 약 9%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서울 시내 주취자 신고는 2021년 3만3215건을 기록한 뒤 해마다 늘고 있다. 지난해 신고 건수는 3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난 결과다.
취객에 대한 시민들 시선이 과거보다 훨씬 엄격해졌다는 점이 신고량 급증의 원인으로 꼽힌다. 서대문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A씨(33)는 "지난해 여름 길거리에 잠들어 있는 취객을 데려가 달라고 경찰에 신고한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음주문화가 사적 모임 중심으로 바뀐 점도 주취자 신고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편안한 분위기의 음주 모임에서 자제력을 잃고 주량 이상으로 마시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얘기다.
서울 모 지구대 소속 B경찰관은 "요새 주취자 신고는 연령대와 성별을 불문한다. 예전에는 대부분 청년·중년 남성에 관한 신고가 들어왔다면 최근에는 20대 여성이 길에 잠들어 있다는 신고도 들어온다"고 말했다.
주취자 신고는 유흥시설이 몰린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서울에서 주취자 신고가 가장 많이 접수된 곳은 마포경찰서 홍익지구대로 1년간 2398건에 달했다. 이어 영등포서 중앙지구대 1023건, 관악서 당곡지구대 964건, 광진서 화양지구대 962건 순으로 주취자 신고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