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5.22 10:53:54
서울 연립·다세대주택(빌라) 실거래가격이 전세사기 사태가 본격화하기 전인 2022년 7∼8월 수준으로 돌아갔다.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매매 실거래가격지수는 전월보다 2.05% 오르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월 대비 3월 상승 폭은 2022년 6월(2.3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0∼2021년 2년 연속 10%대 상승률을 보인 서울 빌라 실거래가격은 전세사기 사태가 불거진 2022년 2.22% 하락했고, 2023년에는 0.85% 오르며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전세사기 문제가 서서히 잦아들면서 작년 실거래가격은 3.44% 상승했는데, 올해는 1∼3월 누적 상승률이 3.58%로 작년 연간 상승률보다 크다.
올해 3월 서울 빌라 실거래가격지수는 143.7로 2022년 8월(143.9) 수준까지 높아졌다.
실거래가지수는 시세 중심의 매매가격지수와 달리 실제 거래된 가격을 동일 주택형의 이전 거래가와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부동산 시장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바로미터’인 거래량도 살아나고 있다. 지난 3월 서울 연립·다세대 주택 거래량은 3024건으로 1년 전(2304건)보다 31.3% 증가했다.
서울 빌라 거래량이 3000건을 넘어선 것은 2022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서울 빌라 매매수급 동향은 4월 99.4를 기록하며 ‘수요 우위(100 이상)’에 가까워졌다.
서울과 함께 경기도 연립·다세대 실거래가도 1분기 1.40% 상승했으나 다른 지역은 아직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인천에서는 1분기 빌라 실거래가격이 2.86% 떨어졌다. 이 지역 빌라는 2022년부터 4년째 하락세다. 지방 빌라는 1분기 2.57%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이 이어지면서 가격 부담이 커지자, 빌라가 대체제로 부각된 점을 시장 회복세의 요인으로 보고 있다. 아파트값이 오르는 동안 빌라 가격은 내려가거나 제자리걸음을 해 가격 경쟁력이 생겼다는 것이다.
수도권의 시세 7억∼8억원(공시가격 5억원) 이하 빌라를 보유해도 청약 때 무주택자로 인정하는 등 비(非)아파트 시장을 살리기 위한 정부 정책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