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4.22 16:56:49
‘하이퍼나이프’ 김선희 작가 인터뷰 “세옥 캐릭터, 녹아가는 아이스크림 쥔, 화난 아이” “실제 배우들 캐릭터 맞춰 대본 썼다”
디즈니+의 최초 오리지널 메디컬 스릴러 ‘하이퍼나이프’가 호평 속에 종영했다. 드라마는 과거 촉망받는 천재 의사였던 ‘세옥’(박은빈)이 자신을 나락으로 떨어뜨린 스승 ‘덕희’(설경구)와 재회하며 펼치는 치열한 대립을 그리고 있다. 매력적인 캐릭터 관계성뿐만 아니라 예측불가 서사로 호평받은 가운데, 각본을 쓴 김선희 작가가 집필 계기와 캐릭터의 탄생 과정, 비하인드까지 전격 공개했다.
Q 작품을 집필하시게 된 계기와 함께, ‘하이퍼나이프’라는 제목을 어떻게 정하게 되셨는지 말씀 부탁 드립니다.
평소 장르물과, 혈연 관계 외의 타인들이 만나서 가까워지는 이야기를 좋아해왔습니다. 그래서 이 드라마를 기획하게 됐고요. 공존이 불가능할 것 같은 타인들이 만나 얼마만큼 가까워질 수 있을까? 그래서 그들은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같은 질문들을 장르물의 틀 속에 녹여보고자 했습니다. 과잉, 지나침이란 ‘하이퍼(hyper)’의 의미가 두 캐릭터를 잘 설명한다고 생각했어요. 둘은 ‘지나치게’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어 매력적이지만, ‘지나침’은 항상 문제를 불러오니까요.
Q ‘세옥’은 과거 천재 의사였지만 스승에 의해 나락으로 떨어져 섀도우 닥터가 된 인물입니다. 감정에 직설적이고 거침없는 성격인데, 이 캐릭터를 어떻게 그리고자 하셨는지?
세옥이를 구상할 때 떠올린 이미지는 녹아가는 아이스크림을 꼭 움켜쥔, 화난 어린 아이였습니다. 손이 끈적해져도 자기 아이스크림을 놓지 않아요. 누가 이 아이에게서 그걸 빼앗으려 하면 사나운 짐승처럼 덤빕니다. 온몸으로 난리를 쳐요. ‘어린애 같은 극도의 이기심’이 세옥이란 캐릭터의 원천이자 그 에너지의 핵심입니다. 자기 것을 빼앗기지 않으려 악을 쓰는 세옥이가 주는 쾌감도 만만치 않아요. 우리가 속으로만 생각하는 것들을 세옥이는 다 쏟아내니까요.
하지만 그녀에겐 여러 가지 미덕이 있어요. 뇌와 수술에 삶의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는, 놀라운 ‘열정의 소유자’이기도 하고, 극도로 좁은 인간관계 속에서 자기 ‘소유’의 인간들에게 헌신하는 면도 있습니다. 시청자들이 드라마 세계관에서만큼은 악당인 세옥이를 잠시 용서하고, 그녀의 시선을 따라 이야기를 즐겼으면 하는 마음으로 캐릭터를 구상했습니다.
Q ‘세옥’이 감정을 폭발하는 ‘불’이라면, ‘덕희’는 감정을 고르고 치밀한 면을 가진 ‘물’처럼 느껴집니다. ‘덕희’ 캐릭터를 만들 때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한 부분이 있다면?
덕희도 세옥이처럼 여러 방면으로 문제가 있는 인물입니다. 하지만 살아온 세월이 있기에 남들을 모방하며 사회성을 길렀고, 주류사회에 녹아 들기 위한 시도들을 했을 겁니다. 적당히 사회적 가면을 쓰고 살아가던 와중에 세옥이를 만나게 되죠. 세옥이를 만나기 전 그의 인생은 공허하고 고독했을 겁니다. 세옥이에겐 덕희가 있었지만, 덕희의 젊은 시절엔 스승이 없었으니까요. 세옥이는 덕희가 자신과 동류여서 열광했지만, 덕희는 세옥이에게만큼은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제대로 된 선생님’이 되어주고 싶었을 겁니다.
Q 박은빈 배우가 ‘세옥’ 역을 맡은 것이 크게 화제가 됐습니다. 설경구 배우 역시 ‘덕희’가 가진 다층적인 면모를 섬세하게 보여줬고요. 캐스팅 소식을 들으셨을 때 어떠셨는지, 작품을 보신 소감 역시 궁금합니다.
한 화면에서 둘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어요. 결과물은 상상했던 것보다 더 좋았고요. 제가 머릿속에서 그렸던 세옥과 덕희보다 훨씬 매력적이고, 강렬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캐스팅 이후 쓰인 대본들은 역으로 두 배우가 본래 가지고 있는 이미지들에 영향을 받아 쓰였다는 사실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Q 이번 작품에는 박은빈, 설경구, 윤찬영, 박병은 등 개성 있는 네 배우들이 참여했는데, 생각하셨던 캐릭터 이미지와 비교하신다면?
네 배우들 모두 캐릭터와 찰싹 달라붙은 것처럼 연기해 줘서 다른 이미지를 떠올릴 틈도 없었습니다. 배우들이 해석한 캐릭터를 보는 재미가 컸고, 그게 너무 잘 맞아떨어졌다고 생각합니다. 박은빈 배우의 껄렁한 제스처와 표정, 설경구 배우의 세옥이를 대할 때만 나오는 친구 같은 바이브, 박병은 배우의 툭툭 나오는 능청스런 코믹함, 윤찬영 배우의 순진하면서도 어수룩한 표정 등 많은 부분에서 색다른 매력을 느꼈습니다.
Q 디테일이 중요한 작품이었는데 의학 전문가들에게 자문받는 과정에서 인상적인 에피소드가 있었다면요?
수술 시 미세한 조작을 위해 맨발로 페달을 밟으신다고 하신 부분이 인상에 남았습니다. 걸리적거리는 것 하나 없이 수술실에 들어간다는 맥락이 그야말로 세옥이 캐릭터 설정에 딱 맞아떨어졌고요. 대본에 나온 수술 장면들을 전체적으로 검수해주셨고, 현장에서도 직접 자문을 해주셨다고 들었습니다. 매번 감사했습니다.
Q 매 화마다 다음을 알 수 없는 엔딩이 화제를 모았습니다. 원래 구상과 달라진 결말이 있는지, 결말을 구상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있다면?
매주 2회씩 공개되기에 홀수 짝수, 두 편을 한 덩어리로 생각하고 홀수 회차에 빌드업을, 짝수 회차 엔딩에 한 단계를 마무리했습니다. 짝수 엔딩에서는 무조건 사건의 반전과 감정적인 클라이맥스를 모두 가져가려 노력했습니다. 결말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어요. 세옥과 덕희 모두, 캐릭터 변화 없이 지독하고 고집스럽게 자신의 원하는 것을 이뤄낸 결말이라고 생각합니다.
Q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시는 장면이나 대사가 있다면요?
하나만 고르라면 ‘빗속 고백’ 장면입니다. 덕희가 ‘그럼 너는 나한테 뭘 줄 건데?’라고 물었을 때, 세옥은 무조건 받기만 할 거라고 말합니다. 그 황당한 말에 덕희가 웃음을 터트리죠. 낯선 두 사람이 본능적으로 서로에게 끌리는 그 순간을 두 배우가 너무도 잘 살려주셔서, 살면서 가끔씩 꺼내 보고 싶은 장면이 되었어요. 장면 자체가 너무 아름답기도 하고요.
※본 인터뷰는 제작사가 제공한 인터뷰 전문 일부를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글 박찬은 기자 사진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977호(25.04.29)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