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너도나도 위챗·알리페이, QR결제가 대세”...中, 이미 현금없는 사회로

은행 ATM 5년간 30만대 사라져

  • 허서윤
  • 기사입력:2025.05.26 16:50:39
  • 최종수정:2025.05.26 16:50:39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은행 ATM 5년간 30만대 사라져
중국 알리페이. [연합뉴스]
중국 알리페이. [연합뉴스]

전자결제 확산에 따라 중국 내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수가 최근 5년 사이 4분의 1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중국 계면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중국의 ATM 수는 80만 2700대로, 2019년(109만 7700대)보다 26.87% 줄었다. 5년 만에 약 30만 대가 사라진 셈이다.

이 같은 변화는 모바일 간편결제의 급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은행 전자결제 건수는 3016억 건으로, 2019년 대비 35% 증가했다. 거래 금액도 3426조 위안(약 65경 원)으로 5년간 약 30% 늘었다.

중국에서는 위챗페이와 알리페이 등 QR코드 기반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 사용을 앞지르며 주된 결제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로 인해 ATM 제조를 주력으로 해온 상장사들의 수익성은 악화됐으며, 공상은행·건설은행 등 대형 국유은행들도 ATM 무카드 입출금 서비스를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추세다. QR코드를 활용한 무카드 서비스가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고령층과 오지 거주자, 외국인 관광객 등 일부 이용자층은 여전히 현금 사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ATM 완전 철수보다는 다양한 결제수단을 병행하는 방향을 유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ATM이 단순 현금 인출기를 넘어 금융·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