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 금융·가상화폐 경계 허물

JP모건체이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 미국 대형 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 공동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암호화폐 등 디지털 자산 육성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시장을 선점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씨티그룹과 웰스파고 등 미국 월가의 주요 은행들이 컨소시엄을 결성해 스테이블코인을 함께 발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개인 간 즉시 송금이 가능한 P2P(일대일 직거래) 플랫폼 ‘젤’(Zelle) 운영사 얼리 워닝 서비스, 실시간 결제 네트워크인 클리어링 하우스 등도 논의에 참여 중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한 가상화폐다. 주로 미국 달러나 유로 등에 교환 가치가 고정되도록 설계한다. 또 가치를 지탱하기 위해 담보를 두는데 통상 미국 국채가 담보로 활용된다.
WSJ는 “대형 은행들의 이같은 논의는 월가의 주류 금융과 가상화폐 금융이 점차 가까워지고 있단 신호”라고 해석했다.
다만 대형 은행들의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대한 이번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로, 최종 결정은 스테이블코인 관련 입법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번 주 본회의 정식 표결을 앞둔 스테이블코인 법안 ‘지니어스 법안’은 비금융 상장기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제한을 담은 내용이다. 기술 기업 등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것이 금지되고 은행들이 제도권 내에서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면 적극 뛰어들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두 아들인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은 지난해 9월 가상화폐 플랫폼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을 출범시켜 트럼프 대통령 부부의 밈 코인 등을 판매했다. 지난 3월엔 ‘USD1’이라는 이름의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하기도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