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이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초저가 공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소액 수입물품 면세제도' 폐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소액 수입물품 면세제도가 중국 이커머스업체의 공습 통로로 활용되면서 자국 유통산업이 크게 흔들리는 데다 대중 무역적자도 심화하고 있어서다.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마로시 셰프초비치 유럽연합(EU) 무역담당 집행위원이 유럽의회에 출석해 소액 소포별로 2유로(약 3100원)의 수수료를 매기는 방안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의 일환으로 EU는 150유로(약 23만원) 미만의 저가 소포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해주던 '소액면세제도'도 폐지할 예정이다.
집행위에 따르면 지난 한 해에만 22유로(약 3만4000원) 미만의 저가 소포 약 46억개가 EU로 들어왔다. EU로 수입되는 전체 소포 가운데 90% 이상이 중국에서 온다. 중국발 저가 물품량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EU의 제품 규정을 어긴 물품도 덩달아 늘어났다. 소액면세제도는 소량의 개인 물품에 적용되는 간편화 절차였다.
문제는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해 '무관세 직배송' 모델을 정착시키면서 미국과 유럽의 유통 시장을 뒤흔들었다는 점이다.
EU의 소매업체와 중국 전자상거래업체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당국에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도 증가했다. 싼 가격을 무기로 물량 공세를 퍼붓는 중국 업체들과 불공정 경쟁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쏟아지는 중국 저가 소포 물량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EU가 소액면세제도 폐지와 고정 수수료 부과를 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면세 혜택을 폐지해 중국 업체들을 견제하겠다는 포석이다.
셰프초비치 위원은 "막대한 저가 소포 홍수가 세관 직원들에게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며 "이번 수수료 부과를 세금으로 볼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수입 과정에서 제품이 안전한지 점검하는 것에 대한 대가"라며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독일 녹색당 소속인 안나 카바치니 유럽의회 내수시장위원회 위원장은 EU의 이번 제안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 상황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판매자들이 예전처럼 역내 창고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은 800달러(약 115만원) 미만의 중국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제외해주는 '소액면세제도'를 폐지했다. 미국은 지난 14일부터 중국발 소액 수입품에 대해 54%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한편 블룸버그에 따르면 프랑수아 필리프 샹파뉴 캐나다 재무부 장관은 캐나다 앨버타주 휴양도시 밴프에서 20일부터 사흘간 열리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회의 개막 기자회견에서 G7이 공급 과잉을 보이는 중국산 저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샹파뉴 장관은 이 의제에는 각국이 어떻게 협력하고 과잉 생산이나 비시장적 관행과 같은 문제에 대응할지에 대한 논의가 포함될 것이라면서 중국발 공급 과잉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시사했다.
[한지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마로시 셰프초비치 유럽연합(EU) 무역담당 집행위원이 유럽의회에 출석해 소액 소포별로 2유로(약 3100원)의 수수료를 매기는 방안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의 일환으로 EU는 150유로(약 23만원) 미만의 저가 소포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해주던 '소액면세제도'도 폐지할 예정이다.
집행위에 따르면 지난 한 해에만 22유로(약 3만4000원) 미만의 저가 소포 약 46억개가 EU로 들어왔다. EU로 수입되는 전체 소포 가운데 90% 이상이 중국에서 온다. 중국발 저가 물품량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EU의 제품 규정을 어긴 물품도 덩달아 늘어났다. 소액면세제도는 소량의 개인 물품에 적용되는 간편화 절차였다.
문제는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해 '무관세 직배송' 모델을 정착시키면서 미국과 유럽의 유통 시장을 뒤흔들었다는 점이다.
EU의 소매업체와 중국 전자상거래업체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당국에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도 증가했다. 싼 가격을 무기로 물량 공세를 퍼붓는 중국 업체들과 불공정 경쟁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쏟아지는 중국 저가 소포 물량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EU가 소액면세제도 폐지와 고정 수수료 부과를 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면세 혜택을 폐지해 중국 업체들을 견제하겠다는 포석이다.
셰프초비치 위원은 "막대한 저가 소포 홍수가 세관 직원들에게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며 "이번 수수료 부과를 세금으로 볼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수입 과정에서 제품이 안전한지 점검하는 것에 대한 대가"라며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독일 녹색당 소속인 안나 카바치니 유럽의회 내수시장위원회 위원장은 EU의 이번 제안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 상황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판매자들이 예전처럼 역내 창고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은 800달러(약 115만원) 미만의 중국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제외해주는 '소액면세제도'를 폐지했다. 미국은 지난 14일부터 중국발 소액 수입품에 대해 54%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한편 블룸버그에 따르면 프랑수아 필리프 샹파뉴 캐나다 재무부 장관은 캐나다 앨버타주 휴양도시 밴프에서 20일부터 사흘간 열리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회의 개막 기자회견에서 G7이 공급 과잉을 보이는 중국산 저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샹파뉴 장관은 이 의제에는 각국이 어떻게 협력하고 과잉 생산이나 비시장적 관행과 같은 문제에 대응할지에 대한 논의가 포함될 것이라면서 중국발 공급 과잉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시사했다.
[한지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