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좌충우돌 머스크보다 낫네 트럼프 자존심 세운 젠슨황

정교한 조율·공감 능력으로
AI칩 수출규제 완화 이끌어
트럼프 첫 중동 순방에 동행
美 첨단기술 과시…수주 잭팟
실패한 조력자 머스크와 대조

  • 문가영
  • 기사입력:2025.05.18 17:47:24
  • 최종수정:2025-05-18 22:03:13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설명
"좌충우돌 트럼프와는 차원이 다른 리더십이다."

민간기업 최고경영자(CEO)가 대거 포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서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문제해결 능력이 조명받고 있다.

트럼프 내각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그가 최근 조 바이든 행정부 임기 말에 단행된 인공지능(AI) 칩 수출통제 규제를 완화시킨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길에도 함께하면서 존재감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 100일 동안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 활동하며 온갖 소음만 키우고 정책 성과는 높지 않았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리더십과 비교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든든한 조력자로 부상하고 있다.

젠슨 황 CEO가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중동을 순방 중이던 지난 13일(현지시간) 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15일 발효 예정이었던 'AI 확산 규정(AI Diffusion Rule)'을 공식 철회한다고 밝혔다. 이는 100여 개 국가를 3개 등급으로 분류해 AI 칩 수출을 규제하는 내용이다.

BIS는 해당 규제에 대해 "미국의 혁신을 저해하고 기업에 과도한 규제 부담을 지우며 수십 개 나라를 2등급 국가로 격하하는 방식으로 미국의 외교관계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고 철회 이유를 밝혔다.

미 정부가 일괄적인 수출 규제에서 한 걸음 물러난 배경에는 엔비디아 등 미국 AI 반도체 업체들의 강한 반발이 자리하고 있다.

앞서 지난 1월 바이든 행정부가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 대해 등급을 나눠 수출을 제한하는 AI 칩 수출 규제를 발표하자 엔비디아·AMD 등은 강하게 반발했다. 이 같은 제한 조치로 오히려 일부 국가는 미국이 아닌 중국의 AI 기술로 눈을 돌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이번 규제 철폐에 따라 2등급으로 분류됐던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들은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젠슨 황 CEO는 이번 규제 철회에 대해 "미국 기술의 확산을 제한하는 것은 전적으로 잘못된 일"이라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를 어르고 달래며 결과적으로 AI 칩을 둘러싼 탈규제 성과를 이끌어낸 행보에 대해 외신들은 그가 규제의 허점을 논리적으로 지적하며 실용적인 대안을 제시했다고 평가한다. 반면 선거유세 기간부터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한 관계를 과시해온 머스크 CEO는 DOGE 수장으로 활동하는 동안 트럼프 행정부에 득보다 실이 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젠슨 황 CEO와 머스크 CEO 간 리더십이 가장 극명하게 대조되는 대목은 정교한 조율 능력이다. 머스크 CEO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전방위로 추진되는 전기차 보조금 폐지 정책을 방조하며 동종업계 불만을 키운 반면 젠슨 황 CEO는 해결사 역할을 자처하며 실제 과잉 규제를 걷어냈다.

[문가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