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 자료 사진 [사진출처=매경DB]](https://wimg.mk.co.kr/news/cms/202505/26/news-p.v1.20240615.f569ea8b0fe74f86b4cdb768343fdc4d_P1.jpg)
직장 동료의 결혼식에 낼 축의금 액수로 10만원이 적당하다고 응답한 직장인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크루트는 지난 20~22일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올해 기준 직장 동료의 적정 결혼 축의금은 얼마인지 설문조사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1인 기준 결혼식에 참석해 식사까지 하는 경우 적정 축의금으로 가장 많은 61.8%가 10만원을 선택했다. 이어 5만원 32.8%, 5만원 미만 3.2%, 15만원 1.4% 순이었다.
사적으로 친한 동료(59.7%), 협업하거나 일로 엮인 동료(60.1%) 등 동료와의 관계에 상관없이 1위는 10만원이었다.
![적정 축의금 조사결과. [사진 = 인크루트 제공]](https://wimg.mk.co.kr/news/cms/202505/26/news-p.v1.20250526.0dec2457ed4c48878b1edc9b9896cda0_P1.jpeg)
2023년 같은 조사에서는 협업할 때만 마주치는 직장 동료의 적정 축의금으로 5만원(65.1%)이 대세였다. 그러나 물가 상승과 함께 액수도 오른 것이다.
적정 축의금 액수 2위는 사적으로 친한 동료가 20만원(14.3%), 협업하는 동료가 5만원(30%)이었다.
직장 동료 결혼식 참석 범위 1위는 협업하는 동료(44.4%)였다. 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28.2%), 사적으로 친한 동료(25.9%)가 그 뒤를 이었다.
동료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복수응답)로 결혼식까지 참석할 사이가 아니어서(33.3%), 개인 일정이 우선이어서(25%), 축의금의 경제적 부담이 커서(16.7%) 등을 꼽았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