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지난해에 이어 무더운 날씨가 지속될 전망이다. 다만 작년에 '역대급' 무더위 원인으로 지목됐던 해수면 온도가 올해엔 전년 대비 낮아지면서 이번 여름 더위는 지난해보다 다소 꺾일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기상청은 3개월 전망(6~8월)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망은 국내를 포함해 전 세계 기상청의 기후 예측 모델 결과와 기후 현황을 종합 분석한 결과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6월 기온은 평년보다 대체로 높고 7월과 8월은 평년보다 더 높을 전망이다. 6월 기온은 평년(21.1∼21.7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로 나타났고, 7월(평년 기온 24.0∼25.2도)과 8월(24.6∼25.6도) 기온은 평년을 웃돌 확률이 50%, 비슷할 확률이 40%다.
우리나라 여름 기온을 좌우하는 요인 중 하나는 봄철 열대 서태평양과 북인도양의 해수면 온도다. 이곳의 올봄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게 유지됐다. 여기에 북극 해빙이 평소보다 줄며 대기 순환이 기온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반도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남쪽의 뜨거운 열기가 우리나라로 올라올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다만 조경숙 기상청 기후예측과장은 "올해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높지만 지난해보다 높지 않다"며 "기온을 상쇄시킬 요인이 있어 폭염일이 평년보다 많겠지만 지난해만큼 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여름철 강수량은 6월에 평년 대비 많았다가 7월과 8월 들어서는 평소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 대기 중으로 많은 수증기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올여름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초여름에 대체로 많을 것으로 전망돼 이상 고온과 집중 호우 등 기상으로 인한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폭염 영향 예보를 이틀 전부터 앞당겨 제공하고, 호우 긴급 재난 문자메시지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등 기상 재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동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3일 기상청은 3개월 전망(6~8월)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망은 국내를 포함해 전 세계 기상청의 기후 예측 모델 결과와 기후 현황을 종합 분석한 결과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6월 기온은 평년보다 대체로 높고 7월과 8월은 평년보다 더 높을 전망이다. 6월 기온은 평년(21.1∼21.7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로 나타났고, 7월(평년 기온 24.0∼25.2도)과 8월(24.6∼25.6도) 기온은 평년을 웃돌 확률이 50%, 비슷할 확률이 40%다.
우리나라 여름 기온을 좌우하는 요인 중 하나는 봄철 열대 서태평양과 북인도양의 해수면 온도다. 이곳의 올봄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게 유지됐다. 여기에 북극 해빙이 평소보다 줄며 대기 순환이 기온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반도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남쪽의 뜨거운 열기가 우리나라로 올라올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다만 조경숙 기상청 기후예측과장은 "올해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높지만 지난해보다 높지 않다"며 "기온을 상쇄시킬 요인이 있어 폭염일이 평년보다 많겠지만 지난해만큼 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여름철 강수량은 6월에 평년 대비 많았다가 7월과 8월 들어서는 평소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 대기 중으로 많은 수증기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올여름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초여름에 대체로 많을 것으로 전망돼 이상 고온과 집중 호우 등 기상으로 인한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폭염 영향 예보를 이틀 전부터 앞당겨 제공하고, 호우 긴급 재난 문자메시지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등 기상 재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동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