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담배 좀 피웁시다” vs “냄새 극혐”…갈라진 민심에 서울시가 내놓은 해결책은

서울시, 3종 서울형 흡연부스 발표 개방형·부분개방형·밀폐형 구성 26일부터 청량리역 광장 시범운영

  • 정석환
  • 기사입력:2025.05.19 11:57:03
  • 최종수정:2025-05-19 14:28:54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서울시, 3종 서울형 흡연부스 발표
개방형·부분개방형·밀폐형 구성
26일부터 청량리역 광장 시범운영
서울 청량리역에 설치된 밀폐형 서울형 흡연부스의 모습. 오는 26일부터 시범운영될 예정이다. <제공=서울시>
서울 청량리역에 설치된 밀폐형 서울형 흡연부스의 모습. 오는 26일부터 시범운영될 예정이다. <제공=서울시>

서울시가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를 위한 흡연 공간 확보에 나섰다. 서울시는 도심 내 흡연 문제로 인한 사회 갈등과 도시 미관 저해를 해소하고, 시민 배려를 담아낸 3종류의 서울형 흡연부스 디자인을 19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3종류 서울형 흡연부스는 개방형, 부분개방형, 밀폐형으로 이뤄졌다. 이 가운데 오는 26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역 광장에서 밀폐형 디자인이 시범운영된다. 서울시는 “공간의 성격과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며 “5월 중 가이드라인을 배포해 자치구, 민간 시설에서도 자율 설치할 때 표준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가 서울형 흡연부스를 발표한 것은 흡연자, 비흡연자의 불만이 꾸준히 제기됐기 때문이다. 흡연자들은 고층 빌딩이 밀집하고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다니는 도심 내에는 마음놓고 흡연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불만을 가졌다.

반대로 비흡연자는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주장해왔다. 여기에 그나마 배치된 흡연부스는 표준화된 디자인이 없었던 탓에 도시 미관을 저해한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서울시는 “장소별 여건에 맞는 구조와 경관·동선·기술을 고려해 흡연부스 디자인을 표준화했다”며 “간접흡연 피해 예방과 질서 있는 도시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방형, 부분개방형, 밀폐형 가운데 개방형은 구조를 최소화한 형태로 패널 단위로 조합이 가능한 설계 구조를 갖췄다. 서울시는 “자유롭게 조립, 설치할 수 있다”며 “공원이나 문화공간처럼 시각적 개방감이 중요한 공간에 어울린다”고 설명했다.

서울 청량리역에 설치된 서울형 흡연부스의 내부 모습. 오는 26일부터 시범운영될 예정이다. <제공=서울시>
서울 청량리역에 설치된 서울형 흡연부스의 내부 모습. 오는 26일부터 시범운영될 예정이다. <제공=서울시>

부분개방형은 시선 차단과 개방감을 동시에 고려해 공공청사나 상업 지구에 적용 가능하다. 밀폐형은 외부와 분리된 구조로 공기 순환 기능을 강화해 밀집 지역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됐다.

디자인은 ‘도시 환경과의 조화’에 중점을 두고 설계됐다. 외관은 거리 건축물, 보행 환경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무채색 계열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내부에는 금연 홍보 콘텐츠, 담배 종류별 공간 분리 구역, 자동문, 담배꽁초 처리 장치 등이 배치된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흡연부스를 단순히 외면하거나 감추는 방식이 아니라, 서울형 흡연부스를 통해 거리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길 기대하며 설계했다”며 “청결하고 질서 있는 거리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