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와 어획량 감소로 소멸 위기를 맞았던 섬들이 맛과 휴양, 여행 등 특색 있는 관광자원을 앞세워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진 남해안은 물론 서해안의 지자체들은 주민들과 합심해 섬 지역에 다양한 관광 테마를 도입해 '지역관광 거점'으로까지 만들어가고 있다.
18일 경남도에 따르면 도는 제2, 제3의 이수도를 발굴하기 위한 다양한 섬 관광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 통영시 산양읍 추도는 '영화의 섬'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80여 명이 사는 작은 섬 추도는 지난해 5월 '제1회 추도 섬 영화제'를 열었다. 영화제에는 섬 인구의 3배에 달하는 240여 명의 영화 마니아들이 찾아와 흥행 가능성을 확인했다. 경남도는 올해 9억원을 투입해 추도를 영화의 섬으로 조성하고, 정기 영화제를 개최할 계획이다.
거제시 일운면 지심도는 '웨딩섬'으로 탈바꿈 중이다. 동백나무가 많아 '동백섬'으로도 불리는 지심도는 아름다운 풍광을 바탕으로 작년 11월 지역 주민들이 세 커플을 초청해 '리마인드 결혼식'을 시범 개최했다. 이를 계기로 경남도는 올해 세 차례의 섬 야외 결혼식을 계획 중이다. 웨딩드레스와 메이크업, 웨딩 촬영을 무료로 지원한다.
경남도는 남해 조도와 호도, 통영 두미도와 사량도를 트레킹 인증 테마섬으로 개발한다. 특히 이들 섬에서는 섬 둘레길을 활용한 트레킹 코스를 지정하고, 기존 등산로와 해안산책로를 정비해 방문객들에게 더욱 쾌적한 탐방 환경을 제공한다.
경남을 비롯해 전남과 인천 등 서남해안을 끼고 있는 지자체들도 '섬 관광자원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전남 완도군은 '완도 치유의 예술 섬' 조성 사업이 정부 공모에 선정되며 관광개발에 탄력을 받고 있는 사례다. 완도 치유의 예술 섬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4개년간 노화도와 보길도 등 노화권역에 수준 높은 섬 미술관 조성, 예술 가옥 조성 등을 통해 '테마 관광 활성화'에 나선다.
전남 고흥군 봉래면 애도마을에 있는 쑥섬도 최근 주목받고 있다. 청정 쪽빛바다와 야생화 등으로 둘러싸인 쑥섬은 행정안전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하는 '찾아가고 싶은 섬'에 5년 연속 올랐다. 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 100선'으로 선정되고 '전남 1호 민간정원'이 조성되기도 했다. 이에 주말에는 하루 1000여 명이 찾는 인기 관광지로 자리 잡았다. 관광객 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정원 14명의 신형 도선 2호가 새로 취항하기도 했다.
인천시는 40개의 유인도와 128개의 무인도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통합 디자인 브랜드를 개발한다. 고립된 섬을 서로 연결된 섬으로 만들기 위해 섬 간 상호 연계성을 높이고 고유 브랜드를 발굴한다.
[최승균 기자 / 지홍구 기자 / 송민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